Go to contents

2002년과 달리 이벤트 열어도 누리꾼 냉담 인터넷 선거전 특수 기대했

2002년과 달리 이벤트 열어도 누리꾼 냉담 인터넷 선거전 특수 기대했

Posted November. 15, 2007 03:58   

中文

대선 특수 실종=17대 대선전의 화두는 인터넷이었다. 때문에 인터넷 관문을 자처하는 포털들은 최초로 대선 특집 섹션을 기획하는 등 그 어느 때보다 공을 들였다. 하지만 누리꾼들의 반응은 냉담 그 자체다.

네이버는 10월부터 대선 공식 홈페이지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당신의 선택!2007대선(epol.naver.com) 서비스를 시작했다. 개장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대선토론장에 올라온 게시글은 100여 건이 전부다. 조회수 역시 건당 1000건을 넘지 않는다. 기사 한 꼭지에 수천 건의 댓글이 달리는 네이버답지 않은 초라한 성적이다.

다음 역시 대선 특집 섹션(election2007.media.daum.net)을 통해 UCC(사용자제작콘텐츠) 공모전, 생활공약 모으기 등의 캠페인을 진행하여 누리꾼들의 관심 끌기를 시도했다. 하지만 상금까지 걸린 공모전에 지난 한 달 동안 출품된 UCC는 70건이 전부다.

야후는 3월부터 대선 서비스(kr.2007korea.yahoo.com)를 시작하고 후보 지지율에 대한 자체 여론조사까지 실시했다. 하지만 투표인단의 규모와 대표성이 문제로 지적돼 신뢰성에 상처를 입었다.

각 포털에서 야심차게 준비한 대선 특집 서비스가 누리꾼들에게 외면을 받고 있는 셈이다.

웹분석사이트 랭키닷컴에 따르면 네이버의 대션 섹션 주간 방문자 수(11월 첫째 주 기준)는 13만여 명 선. 일주일 평균 2200만 명에 이르는 네이버 방문자 수의 100분의 1도 안 되는 수준이다. 다음의 대선 섹션 역시 주간 방문자 수가 8만8408명으로 다음을 찾는 이용자 1800만 명의 0.5%에 불과하다.

선거법이 무서워=전문가들은 인터넷 대선 특수가 실종됐다고 분석한다. 법적 규제로 인한 소통의 부재와 정치적 무관심이 원인으로 꼽힌다.

경희대 정치학과 송경재 교수는 자유로운 표현까지도 제한하는 선거법 93조의 영향 탓이라고 말했다. 송 교수는 선거의 핵심은 후보에 대한 호불호를 이야기하는 것인데, 그 자체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에서 소통이 안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2004년에 개정된 선거법이 인터넷 여론을 가로막고 있다는 것이다.

포털이 지나치게 몸사리기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대선미디어연대 이준희 대외협력본부장은 네이버가 대선을 앞두고 정치기사 관련 댓글을 일원화했는데 여론 확산을 막은 대표적 사례라며 선거법 위반 논란을 피하겠다는 취지라지만 공론장 형성이라는 포털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외면한 것이라고 말했다.

현실 정치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문지은 웹애널리스트는 전반적으로 대선에 대한 관심이 2002년보다 훨씬 줄었다며 16대와 17대 대선주자들의 홈페이지 트래픽을 비교해보면 냉담해진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2002년 당시 노무현 후보의 팬클럽 노사모(www.nosamo.org)에는 하루 평균(11월 첫째 주 기준) 3만2723명이 다녀갔다. 하지만 올해 같은 시기 선두를 달리는 이명박 후보의 팬클럽 명박사랑(www.mblove.org)에는 9935명이 들렀을 뿐이다. 이회창 후보의 창사랑(www.changsarang.com)도 1만1604명, 문국현 후보의 희망문(www.dreammoon.kr) 6587명 등으로 유권자들의 관심이 시들해졌다.



강혜승 정혜진 fineday@donga.com hyej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