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TGYF의 공습

Posted November. 21, 2013 03:36   

中文

최근 체코에서는 인터넷 업계 관계자들이 크게 놀란 일이 벌어졌다. 한때 검색 점유율이 63%에 달해 절대 무너지지 않으리란 평을 받았던 포털업체 세즈남이 구글에 밀려 1위 자리를 내줬기 때문이다. 체코는 한국(네이버), 중국(바이두), 러시아(얀덱스)와 함께 구글이 아닌 자국 포털이 점유율 1위인 4개국 중 하나였다. 네이버는 5일 자사의 단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미투데이를 내년 6월 30일까지만 운영하고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네이버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글로벌 서비스의 성장세는 뚜렷한 반면 미투데이는 활발히 참여하는 이용자 수가 계속 급감해 서비스 운영 유지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음의 요즘, SK커뮤니케이션즈의 C로그에 이어 네이버의 미투데이까지 폐지되면서 국내 주요 SNS 서비스가 대부분 사라지게 됐다. 최근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 글로벌 인터넷 업체들의 한국 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높아지면서 국내 인터넷 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구글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국내 모바일 인터넷 분야에서 탄탄한 입지를 다지면서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20일 포털업계에 따르면 최근 모바일 인터넷 분야에서 구글은 업계 2위였던 다음을 제치고 네이버의 뒤를 이어 2위 사업자로 올라섰다. 민주당 유승희 의원실에 따르면 9월 기준 구글(유튜브 포함)의 국내 순방문자 수는 3020만 명으로 1위인 네이버(3125만 명)의 뒤를 바짝 따라붙었다. 다음은 2711만 명으로 3위로 밀려났다.

구글은 국내 스마트폰 운영체제(OS)의 91.7%를 장악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OS를 갖고 있으면서 안드로이드용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도 내놓고 있다. 시장으로 치면 장터(안드로이드 OS)와 주요 가게(앱)를 동시에 소유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유리한 환경을 바탕으로 구글은 국내 모바일 앱 분야를 사실상 평정했다.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10월 국내 모바일앱 설치 순위에서 상위 15개 앱 가운데 80%인 12개가 구글(안드로이드 포함)의 것이었다. 15위 안에 이름을 올린 국내 서비스는 카카오톡(7위)과 카카오스토리(11위), 네이버 앱(15위)뿐이었다.

국내 포털업계는 유선 중심의 인터넷 환경이 빠르게 무선 기반으로 넘어가는 상황에서 모바일 영역을 빠르게 치고 올라오는 외국 서비스의 성장세가 위협적이라고 평가한다.

포털업계의 한 관계자는 특히 최근 외국 기업은 배제한 채 국내 포털업체들만 해당되는 각종 규제가 쏟아지고 있어 이러다 시장을 완전히 빼앗기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고 말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검색서비스 가이드라인이나 청소년 유해 앱을 앱장터에서 차단하는 정책 등은 외국 기업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규제의 취지를 문제 삼을 수는 없지만 국내 업계가 규제 준수에 신경 쓰는 사이 외국 업체들이 세력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동영상서비스 업계는 역차별 때문에 판도가 바뀐 대표적인 사례다. 국내에는 판도라TV와 다음 TV팟 등 인기 동영상 서비스가 있었지만 국내 서비스에만 인터넷 실명제가 적용되면서 이용자가 대부분 유튜브로 넘어갔다. 유튜브의 국내 점유율은 2008년 2%에서 올해 74%로 늘어난 반면 1위였던 판도라TV의 점유율은 42%에서 4%로 추락했다.

한국 정부가 만든 규제안을 외국 업체에 강제로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본사가 외국에 있어 문제가 생겨도 조사조차 어렵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안드로이드 반독점 혐의로 2011년과 2012년 구글 한국지사에 대해 현장조사를 벌였지만 구글은 PC에서 파일을 삭제하고 서버 전원을 차단했다. 또 직원들을 재택근무로 돌리기도 했다. 구글은 결국 무혐의 판정을 받았지만 당시 인터넷 업계에선 국내 기업이었으면 상상조차 못했을 일이란 말이 나왔다.

포털업계 관계자는 점유율로 추정하면 구글 한국지사가 최소 2400억 원가량의 연 매출을 올리고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유한회사라 공개가 안 된다며 매출액도 투명하게 파악이 안 돼 세금을 제대로 걷기 힘든 상황에서 규제를 강제할 수 있겠냐고 말했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인터넷 경제에서는 국내외 기업을 구분하기 어려운 만큼 어느 사업자에게나 공정하게 적용되는 정책을 펼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임우선 imsun@donga.com김호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