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대장명령 1호 공개뒤 북주파수-암호 교체

대장명령 1호 공개뒤 북주파수-암호 교체

Posted December. 24, 2011 07:15   

中文

북한군 지도부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을 발표하기 전 김정은 대장 명령 1호를 일선 부대에 하달한 사실이 한국 언론에 공개된 뒤 북한이 한국의 감청을 피하기 위해 교신 주파수와 암호 체계를 교체하고 있는 정황이 군 정보당국에 포착됐다.

군 정보소식통은 23일 훈련을 중지하고 즉각 소속부대로 복귀하라는 내용의 김정은 명령 1호가 북한군에 내려진 사실이 21일 한국 언론에 보도된 뒤 대북 감청을 통한 특수정보(SISpecial Intelligence)를 수집하는 데 차질을 빚고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북한이 김정은 명령 1호를 전군에 하달하는 데 사용한 교신 체계에서 추가적인 SI가 제대로 포착되지 않고 있다며 북한이 한국군의 대북 감청을 우려해 주파수 대역이나 암호 체계를 바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북한군은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대남 군사도발을 위한 상부의 명령은 물론이고 부대와 장비 이동 등 모든 지시를 평문()이 아닌 암호나 음어를 통해 예하부대에 전파한다. 김정은 명령 1호도 김 위원장 사망 발표 직전인 19일 오전 암호 형태로 무선 주파수를 통해 전군에 긴급 전파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한국 정보당국이 대북 감청으로 이를 포착해 구체적인 내용을 해독한 것으로 드러나자 북한군은 한국군의 추가 대북 첩보 수집을 막기 위해 대책 마련에 착수한 것으로 군 정보당국은 보고 있다. 다른 소식통은 북한이 교신 주파수나 암호 교체와 함께 한국군의 감청이 불가능한 광케이블 유선망을 통해서만 후속명령을 예하부대에 하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나라당 김세연 의원은 23일 국회 남북관계발전특위 전체회의에서 우리 정부가 지원한 광케이블을 북한이 매설함으로써 통신 감청이 봉쇄된 측면이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김대중 대통령 시절부터 최근까지 북한의 통신선로 개선공사를 지원하는 차원에서 광케이블 등 통신장비를 북측에 제공해 왔다. 무선 통화는 비교적 감청이 쉽지만 광케이블을 이용하면 감청이 어렵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윤상호 ysh100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