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November. 12, 2007 06:16,
외환위기 이후 10년, 한국 사회가 외형적으로는 정상을 거의 회복했으나 국민의식은 불안, 불신, 분열, 무기력에 빠져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민주화의식과 대외개방성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아일보와 SBS가 후원하고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소장 정진성)가 조사해 11일 발표한 국민의식조사-IMF 10년, 한국 사회 어떻게 변했나에서 나타난 결과다. 이번 조사는 사회발전연구소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9월 11일10월 1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조사와 1998년 이 연구소가 실시한 현대 한국인의 의식과 관행 조사 등 8건의 기존 조사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신뢰도 95%, 표본오차 3.1%).
이 조사에 따르면 외환위기가 초래한 국민적 트라우마(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는 정치권의 이념 논쟁과 별개로 잃어버린 10년으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우선 한국인들은 외환위기 이후 소득, 자산, 직업안정성, 가족 유대의 감소로 인해 불안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이 구조화되면서 물질주의적 가치가 팽배해 10년 전에 비해 성공의 조건으로 돈(35.8%60.5%)과 학벌(15.3%36.4%)을 꼽는 경우가 급증했다. 개인의 노력(38.2%24.2%)이나 인간관계(36.9%21.4%)를 꼽는 경우는 크게 줄었다.
또 사회 제도와 조직에 대한 불신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정부 부문(34%30%)과 비정부 부문(50.5%44.75%) 모두 신뢰도가 하락했다. 신뢰도가 낮은 기관은 정당(2.9%), 국회(3.2%), 행정부(8%), 사법부(10.1%) 순이었고, 비정부 부문에서 신뢰도가 가장 크게 하락한 곳은 시민단체(48.8%21.6%)였다.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여기는 비율은 외환위기 직전 41.1%에서 28%로 급감함으로써 계층의식이 추락하는 무기력 증상도 심화됐다. 한편 지난 10년간 민주주의가 발전했다는 응답자가 55%였고 퇴보했다는 사람은 17.9%에 그쳐 우리 사회의 민주화가 공고한 것으로 평가했다. 결혼 이주 외국인 이민자에 대해서도 반대(20.9%)보다 찬성(35.6%)이 높게 나타나면서 대외개방성도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