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국회 산업자원위원회의 인사청문회는 시작부터 시끄러웠다.
한나라당 의원들이 지난해 말 열린우리당 의장으로서 개정 사립학교법을 날치기 처리해 53일간의 국회 파행을 야기한 데 대해 책임지고 사과하라고 요구했으나 정 내정자가 이를 거부해 오전 청문회가 파행한 것.
김용갑() 산자위원장이 사과가 아니라 의사표명 정도는 할 수 있지 않느냐고 중재했지만 정 내정자는 (사학법에 대한) 소신을 여기서 밝히면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한나라당 의원들의 퇴장으로 청문회가 한동안 중단됐다가 오후 3시가 넘어 속개는 됐지만 양자의 입장은 여전히 팽팽했다.
정 내정자는 사학법 처리와 관련된 질의에는 2월 국회에서 논의 중인 사안이고 인사청문회가 정치적 논란의 장으로 변화하는 것은 국민이 바라는 일이 아니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야당 의원들의 집요한 공격에도 사과할 일 없다고 버텼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이 밖에 정 내정자의 차량이 6년간 78건의 교통법규를 위반한 사실, 10년간 10억 원의 재산이 증가하는 과정에서의 부동산 투기 의혹, 2002년 전북도지사 경선을 위해 가족의 주소를 전북으로 옮긴 것과 관련한 위장전입 의혹 등도 추궁했다.
이에 정 내정자는 교통법규 위반 사실에 대해 송구하고 민망하다. 앞으로는 그런 일이 절대 없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장관이 되려고 여당 의장 직을 버린 처신이 옳으냐는 질문에는 장관 자리는 자청하는 게 아니고 임명권자가 임명하는 자리라며 출세 지향적이라는 말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15대 선거 때 지역구에 34일간만 거주하는 등 선거 때마다 위장 전입한 것 아니냐는 한나라당 윤두환() 의원의 질문에는 가족이 선거를 돕기 위해 지역으로 내려오면서 주민등록을 옮기는 것은 당연하다고 답변했다.
정 내정자는 중소기업의 수출지원 문제에 대해 환 변동보험의 무제한 공급 및 가입 시 수수료 인하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