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기업인 대성그룹의 한 임원은 최근 김영훈 회장으로부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회사를 인수합병(M&A)할 수 있는지 검토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지난달 스위스 다보스포럼에 다녀온 김 회장은 포럼의 화두였던 초연결성(hyper connection), 즉 세상의 모든 것이 실시간으로 연결된다는 키워드에 푹 빠지면서 이 개념을 구현한 SNS 회사에 관심을 갖게 됐다는 설명이다.
대성그룹 관계자는 주력 업종인 국내 도시가스 산업의 성장세가 한계에 이르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성그룹처럼 주력 사업이 한계에 다다른 기업들을 중심으로 M&A를 통한 신사업 발굴 움직임이 활발하다. 글로벌 경제위기로 알짜배기 회사들이 나라 밖에서 대거 매물로 나온 데다 국내에서도 대우조선해양 등 굵직한 기업들이 시장에 나오면서 국내외 M&A 시장에 큰 장()이 선 것이다.
경제위기가 키운 M&A 시장
최근 동원산업이 스페인 최대 캔참치 업체인 칼보산스로부터 지분 인수 제의를 받았는가 하면 국내 금융권도 해외 금융업체로부터 자사의 지분을 인수해 달라는 제안을 잇달아 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해 하이마트, 웅진코웨이, 대우일렉트로닉스, 위니아만도 등이 매물로 나와 있다.
M&A 시장의 수요자인 기업들이 많은 현금을 갖고 있다는 점도 M&A 활성화를 점치게 하는 요인이다. 블룸버그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전체 상장회사의 자산 대비 현금 비중은 2002년 3.9%(250억 달러)에서 2010년에는 6.4%(1100억 달러)로 늘어났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과 유럽 등의 중앙은행이 금리를 낮게 유지하면서 국제 금융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상대적으로 쉬워지고, 국민연금이 해외 M&A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힌 점도 국민연금과 컨소시엄을 이뤄 해외 매물을 사들이려는 국내 기업들로서는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융합 위해 IT 기업 인수 관심도
M&A 전문가들은 통신이나 건설, 담배 등 주력 업종의 성장이 한계에 이르거나 해운이나 조선과 같이 외부 시황에 민감한 업종을 가진 기업일수록 M&A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주식 매각 등으로 1조5000억 원대의 현금을 확보한 KCC와 몸집 부풀리기에 나선 한국석유공사와 같은 에너지 공기업들도 M&A 시장의 큰손으로 급부상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백흥기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사업 다각화나 관련 산업의 확장(수직계열화) 목적을 가진 기업 외에 최근 정보기술(IT) 분야와 융합을 시도하려는 기업도 M&A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M&A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은 무르익어 가지만 국내 기업들은 과거 M&A 실패의 트라우마(심리적 충격)로 인해 선뜻 매수에 나서지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한화그룹은 대우조선해양 인수전에 뛰어들었다가 금융시장이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추가 자금을 조달하지 못해 낭패를 봤고,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대우건설을 인수한 뒤에 재무구조가 크게 악화되기도 했다.
한정화 한양대 교수(경영학)는 삼성 역시 1990년대 말 미국의 컴퓨터기업인 AST의 M&A에 실패한 경험과 노조를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로 인해 기업을 인수해 신사업을 찾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가 여전하다고 말했다.
정세진 mint4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