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청, MB 친인척-측근 고강도 감찰

Posted May. 30, 2011 03:24   

中文

청와대가 혹시라도 이명박 대통령 내외의 친인척이나 측근 관련 비리가 터져 나올까 긴장하며 고강도 감찰에 나선 분위기다. 이 대통령의 대선캠프 출신인 은진수 전 감사위원의 금품수수 의혹이 제기된 상황에서 또 다른 권력형 사건이 터진다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9일 예방 강도를 2, 3단계 높이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실제 친인척 관리를 맡아 온 민정1비서관실은 지난주 이후로 발로 뛰는 현장 확인을 부쩍 강조하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그동안 이 대통령 내외의 친척, 사돈, 학교 동창, 소망교회와 현대그룹 시절의 지인을 대통령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면서 3, 4개 등급으로 나눈 뒤 차등적으로 관리해 왔다. 대상자는 1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관계자는 감사원 국무총리실은 물론이고 수사기관의 도움을 폭넓게 받아 대통령 주변 인물이 누구를 만나는지, 어떤 사업을 진행하는지, 금전거래는 없는지 등을 현장을 직접 확인하면서 따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과거엔 전화로 확인했다면 이제는 만나서 하고, 분기별로 연락했다면 이제는 매달 점검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공직기강비서관실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한나라당 대선캠프, 이 대통령의 개인조직이었던 안국포럼, 서울시에서 몸담았던 정치적 주변 인물 중 공직에 몸담았거나 현재 공직에 있는 인사들에 대한 특별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대통령과 직접 인연이 없더라도 경북 영일 혹은 포항 출신 공직자는 특별 관리대상에 포함돼 있다. 여권의 한 인사도 이른바 영포라인(영일-포항 라인)이라는 게 실체는 없지만 이들 지역 출신 공직자의 수뢰사건이 터지면 국민의 오해를 피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다만, 청와대 직제표에 따르면 두 비서관실에 소속된 감찰 인력은 30명을 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거수일투족을 관리하기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청와대는 일반 공직자에 대해서까지 사정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것은 아니라는 태도다. 민정라인의 한 참모는 집권 4년차를 맞아 친인척과 측근 비리를 차단하는 데 역점을 두겠다는 것이며 공직사회에 대한 이 대통령의 기본적인 신뢰는 여전하다고 말했다. 물론 감사원 금융감독원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등 감독사정 기관은 고강도 감찰의 예봉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통령은 은 전 감사위원의 금품수수 의혹이 불거진 뒤 타인의 업무를 감독하고 감찰하는 조직의 비리는 용납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승련 sr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