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보조 맞춘다던 한국 국회는 팔짱만

Posted September. 09, 2011 04:05,   

미국 하원이 7일(현지 시간) 일반특혜관세(GSP) 제도 연장안을 만장일치로 처리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 GSP 연장안 처리는 한미 FTA 이행법안 처리를 위해 민주공화 양당이 8월에 합의한 추진 계획 중 첫 단계로, 한미 FTA 비준안 처리에 시동을 걸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지만 한국 국회는 한미 FTA 비준안 상정 날짜조차 잡지 못하는 등 미적대고 있다. 이러다간 미 의회 인준이 완료될 때까지 우리는 상임위 상정조차 못하는 초유의 사태를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미 하원은 이날 본회의를 열고 지난해 말로 일몰된 GSP 연장안을 본회의에 직접 상정해 표결로 통과시켰다. GSP는 미국이 개발도상국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거나 인하해주는 제도다. 미 상원 민주공화 양당 원내대표는 8월 초 의회 여름휴회에 들어가기 직전에 9월 회기가 시작되면 무역조정지원(TAA) 제도 연장안을 처리한 뒤 한미 FTA 이행법안을 처리하겠다는 추진 계획에 합의했다. 돌발변수가 없는 한 미 의회 내 한미 FTA 비준안 처리는 GSP, TAA와 함께 이르면 이달 중, 늦어도 10월 중에는 마무리된다는 게 지배적인 관측이다.

하지만 우리 국회는 여야 간 이견으로 비준안 상정 날짜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남경필 위원장은 미국의 GSP 처리에 대해 한미 FTA 처리를 위한 기초 단계라며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이상훈 최영해 january@donga.com yhchoi6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