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수거물 관리시설(원전센터)을 유치하겠다며 청원서를 낸 지방자치단체가 5개 시군, 8개 지역(읍면동)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에 따라 이미 청원을 한 것으로 간주되는 전북 부안군을 포함해 총 9개 지역이 원전센터 유치 경쟁을 벌이게 됐다.
31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유치 청원 마감일인 이날 오후 5시 현재 전북 군산시 소룡동과 옥도면 경북 울진군 근남면 기성면 북면 전북 고창군 해리면 전남 영광군 홍농읍 전남 완도군 생일면이 해당 지역 20세 이상 주민 가운데 3분의 1을 넘는 찬성 서명을 첨부한 청원서를 제출했다.
서명률이 가장 높은 곳은 영광군 홍농읍으로 20세 이상 주민의 68.16%가 찬성했다. 이어 울진군 기성면(44.13%)과 근남면(41.75%), 군산시 소룡동(40.46%)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명률을 보였다.
이번에 청원서를 내지 못한 자치단체는 9월 15일 예비신청 마감 때까지 자치단체장이 별도로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어 유치 신청 지역은 지금보다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산자부는 올해 원전센터 부지 선정 원칙으로 자치와 참여를 내걸고 지역 주민들과 함께 부지 조사와 안전성 검증 등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또 에너지원탁회의와 에너지정책민관포럼 등을 통해 시민단체의 이해와 협조도 적극 구하기로 했다.
원전센터는 9월 15일 예비신청에 이은 해당 지자체 주민들의 찬반투표, 11월 말 본신청 등을 거쳐 연말에 최종 확정된다.
한편 주민 청원을 앞두고 영광 고창 울진 군산 등 4개 지역 반대대책위원회가 지난달 28일 성명을 통해 원전센터 유치 공모()를 철회할 것을 촉구하는 등 부안사태와 같은 집단반발이 일어날 조짐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