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북의 금지곡 ‘아침이슬’

Posted September. 05, 2016 06:58   

Updated September. 05, 2016 07:38

中文

 이 노래의 첫 소절만 들어도 마음이 울렁거린다. 일상에서 흐트러진 자세를 다잡고 뭔가 대의(大義)를 위해 결연히 일어서야 할 것 같은…. 가사 때문일까, 멜로디 때문일까. 1970년대 이후 민주화 과정에서 ‘아침이슬’은 자유와 민주를 염원하는 이들의 마음을 한데 묶은 노래였다. 억압과 금지에 짓눌린 시대에 “긴 밤 지새우고∼”를 때론 목청껏, 때론 처연히 부르노라면 더 나은 내일이 앞당겨질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낭만적 저항의 노래 가사 중 “태양은 묘지 위에 붉게 떠오르고∼”가 문제가 됐다. 김민기는 밤새워 술을 마시고 서울 돈암동 야산 공동묘지에서 깨어났을 때 풀잎에 맺힌 이슬 위로 해가 떠오른 것을 보고 이 곡을 만들었단다. 엄혹한 시대에 기껏 통음으로 저항했던 청년의 자기 성찰인데도 음험한 상상력이 뛰어난 공안 당국은 불순한 그림자가 어른거린다고 봤다. 유신정권은 1975년 5월 긴급조치 9호를 발동하면서 이 노래를 금지곡으로 지정했다. 1971년엔 ‘건전가요 서울시문화상’을 받았던 노래인데….

 ▷역설적이게도 ‘아침이슬’은 북한에서도 널리 불렸다. 북 당국이 남한 시민들의 투쟁 소식을 전파하기 위해 만든 선전 영상물에 등장했다. 하지만 따라 부르는 사람이 많아지자 북 당국은 주민들이 노래에 담긴 저항의식에 눈뜰 가능성에 비로소 주목했고 1998년부터 못 부르게 금지시켰다는 보도가 있었다. 남북 당국이 모두 주민들이 상대에게 물들까 봐 두려워 금지시켰으니 참 기구한 노래다.

 ▷1987년 9월 5일 방송심의위원회가 방송금지가요 500곡을 해제하면서 ‘아침이슬’도 ‘동백아가씨’ 등과 함께 다시 전파를 타게 됐다. 김일성대 출신 본보 주성하 기자는 북에서 친구들과 ‘아침이슬’을 부른 추억을 다룬 글에서 이 곡에 사로잡힌 이유에 대해 “노래 속에 감춰져 있는 항거의 정신이 우리 마음속에 잠자고 있던 내재적인 반항의식을 불러일으키지는 않았을까”라고 쓴 바 있다. 북에서 ‘아침이슬’을 몰래 부르며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이들이 요즘엔 부쩍 늘었다고 한다.

한 기 흥 논설위원 eligiu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