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당무 복귀 이재명, 잇단 탈당에도 통합 메시지 없어…당 일각 “안일” 불만도

입력 | 2024-01-18 07:06:00

최고위원회의 주재 “이번 선거는 권력에 대한 심판 선거”
비명계 탈당·이낙연 신당 행보 “참으로 안타깝다”
“지도부, 위기 의식 없어” 당내서도 우려와 불만
당무 복귀했지만 공천 잡음·지지율 부재 등 과제




흉기 피습 사건 보름 만에 당무에 복귀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첫 일성은 ‘정권 심판’이었다.

비명계의 집단 탈당, 공천 잡음 등 공백 기간 동안 발생한 논란으로 적잖은 내상을 입은 만큼 통합 메시지를 낼 것이라는 당초 예상이 빗나간 셈이다. 일각에서는 이 대표의 메시지를 두고 안일하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18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전날 주재한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선거는 정권에 대한 중간 평가이자 권력에 대한 심판 선거”라며 “국민께서 이 정권이 과연 국민과 국가를 위해서 주어진 권력을 제대로 행사했는지 판단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은 이 정권의 2년 간 행태나 성과가 결코 국민의 기대에 부합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며 “경제도 더 어려워졌고, 안보도 더 나빠졌고, 민생도 더 나빠졌다. 정상적 나라가 아니라 비정상의 나라로 후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상응하는 책임을 물어야 한다. 민주당은 그 책임을 묻는데 있어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야권이 주도한 쌍특검법(대장동 클럽·김건희 여사 주가 조작 의혹)을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하고, 여당인 국민의힘이 옹호하는 상황을 타개하겠다는 뜻이다.

그러나 당내 비명계 의원들의 이탈과 이낙연 전 대표의 신당 창당 행보 등 대해선 “많은 노력을 다했지만 참으로 안타깝다”는 짧은 답변으로 갈음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드릴 수 있도록 민주당도 저도 노력하겠다”며 총선 승리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당 안팎에선 이 대표의 복귀 메시지를 두고 비난과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민주당을 탈당한 이원욱 미래대연합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을 페이스북에 “복귀하시고 일성이 또 증오와 거짓말로 시작했다”며 “원칙과상식 의원들에게 전화 한번이라도 해보신 적이 있느냐”고 비판했다.

박정하 국민의힘 대변인은 “일성이 정권 심판론과 분열을 조장하는 변함없는 모습에 무척이나 안타깝다. ‘법으로도 펜으로도 죽여보고 안 되니 칼로 죽이려 하지만 결코 죽지 않는다’는 이 대표의 발언은 더욱 충격”이라고 가세했다.

당내에선 이 대표를 중심으로 뭉치기만 하면 된다는 지도부의 인식이 안일하다는 불만이 나왔다. 한 비명계 재선 의원은 통화에서 “이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대단한 위기 의식을 가져야 하는데 너무 안이하다”며 “통합을 위한 대표의 노력이 미흡하다는 생각을 모두가 갖고 있고, 지금 와서 이야기 한들 공염불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또다른 비명계 중진 의원은 “예상했던 내용 그대로였다”며 “당을 떠난 분들에 대한 진심 어린 말이나 지도부의 책임 등이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그런 것이 없어서 아쉽다”고 했다.

이 대표가 자신의 의지대로 이번 총선을 ‘정권 심판’ 구도로 이끌더라도 풀어야 할 숙제는 적지 않다. 지난 2일 부산 가덕도 방문 중 피습을 당해 치료를 받는 동안 원칙과상식‘ 소속인 이원욱·김종민·조응천 의원이 탈당했고, 이낙연 전 대표도 신당 창당을 위해 당을 떠났다.

뇌물수수 등 사법 리스크와 성비위 의혹을 안고 있는 친명계 인사들의 총선 출마와 선거제 개편도 이 대표에게 시험대다. 여기에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전환한 국민의힘이 빠르게 정국 주도권을 선점하면서 여당에 주도권을 뺏겼다는 평가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답보 상태에 빠진 지지율 역시 이 대표가 넘어야 할 산이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11~12일 만 18세 이상 1003명에게 물은 민주당의 지지율은 42.4%로 전주 대비 2.1% 포인트 떨어졌다.

특히 당 핵심 지지 기반인 광주·전라 지역은 13.9% 포인트 하락한 54.0%를 기록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3.0% 상승한 39.6%였다. (표본오차 ±3.1%포인트, 신뢰수준 95%,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