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잃어버린 30년’ 되돌리는 일본 증시, 33년만에 장중 최고치

입력 | 2023-11-20 17:16:00


일본 주식시장 지표 닛케이평균주가가 20일 장중 한때 33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버블 경제 붕괴가 시작된 1990년 3월 이후 가장 높았다. 증시만 놓고 보면 ‘잃어버린 30년’에서 마침내 벗어난 것 아니냐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 같은 증시 활황은 기록적인 엔저 현상 장기화에 따른 일본 주요 기업 실적 개선 영향이 컸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탈(脫)중국에 나선 기업들 투자가 일본으로 향하는 효과도 누리고 있다. 다만 세계 주요국 중 유일하게 금융 완화를 고수하고 있어 유동성 과잉 부작용 및 향후 닥칠 금리 인상 충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 체질 개선이 아닌 환율이 성장률 등을 좌우하면서 경제가 외부 변수에 흔들리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다.





● 코스피-美 증시 웃도는 日 증시
이날 닛케이평균주가는 장중 33년 전 최고치(3만3753엔)를 넘는 3만3808.64엔까지 올랐다. 오후 들어 ‘팔자’ 주문이 몰리며 전거래일보다는 0.59%(197.17엔) 하락한 3만3388.03엔으로 마쳤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33년 8개월 만의 최고치 경신 이후 목표를 달성했다는 분위기에 매수세가 한풀 꺾였고 오후에는 차익 실현을 위한 매도세가 강했다”고 분석했다.

일본 증시는 지난해 말부터 이달 17일까지 약 11개월간 29%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국 스탠더드앤푸어스(S&P) 500(18%), 코스피(10.4%), 유로 스톡스 600(7%) 상승률을 웃도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일본 기업이 세계적으로 좋은 실적을 거두면서 외국인 투자가 몰리고 있다. 일본 상장기업올 (회계연도) 상반기(4∼9월)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증가해 역대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주도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탈중국 러시가 강해지면서 대만 TSMC, 미국 마이크론 같은 반도체 기업의 대규모 투자도 잇따르고 있다.

이처럼 기업 실적 및 투자가 개선되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 9월 경제전망에서 일본이 올해 1.8% 성장해 한국(1.5%)을 성장률에서 25년 만에 추월할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오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진 영향도 받았다. 금리 인상이 주춤하면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주식 등에 돈이 몰린다. 이 같은 이유로 미 다우존스산업지수는 지난주 13~17일(현지 시간) 1.9% 상승했고 S&P 500지수는 같은 기간 2.2% 올랐다. 두 지수가 3주 연속 상승한 것은 올 7월 이후 처음이다.





● “엔저 장기화, 日소비 부진 우려”
최근 눈에 띄는 일본 경제 성장세를 견인하는 것은 단연 엔저 현상 장기화다.

20일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34엔 하락(엔화 가치 상승)하며 149.11엔에 거래됐다. 150엔 밑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올 1월 128엔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연초 대비 엔화 가치가 17% 넘게 하락했다.

하지만 엔저 현상이 길어지면서 수입 물가는 올라 소비가 침체되는 악영향이 커지고 있다. 미 블룸버그통신은 “엔저에 따른 물가 상승, 부진한 임금 인상으로 소비가 얼어붙을 위험이 있다”며 일본 4분기 성장이 둔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엔화를 팔고 달러를 사들이는 움직임이 약해지면 엔화 가치는 상승할 수 있다. 수출이 끌어 올린 일본 기업 실적이 언제라도 악화될 수 있는 요인이다. 경제 체력 회복에 따른 체질 개선은 아직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