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일하는 고령자, 스트레스 적고 가족관계 만족…“자녀 함께 안 살아도 돼”

입력 | 2023-09-26 13:45:00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어르신들이 더위를 피하고 있다. 뉴스1


일하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일하지 않는 고령자보다 스트레스가 적고 가족관계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일하는 고령자 중 향후 자녀와 동거를 희망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이들의 비율은 비취업 고령자보다 높았다.

통계청은 2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3 고령자 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 취업자 수는 326만5000명이며 고용률은 36.2%다. 10년 전인 2012년 당시 고령자 고용률(30.1%)보다 6.1%포인트(p) 상승했다. 65세 이상 비취업자 수는 576만2000명으로 전체 고령자의 63.8%이다.

우리나라의 고령자 고용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21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65세 이상 평균 고용률이 15%를 상회하는 나라는 한국(34.9%), 일본(25.1%), 스웨덴(19.2%), 미국(18%) 등 11개국뿐이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 고령자 통계’ (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 고령자 통계’ (통계청 제공)

지난해 일하는 고령자 중 본인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이들의 비율은 37.5%로 비취업 고령자(21.9%)보다 15.6%p 높았다.

일하는 고령자가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비중은 34.4%로, 비취업 고령자(36.4%)보다 2%p 낮았다.

또 일하는 고령자는 전반적인 가족관계, 배우자와의 관계, 자녀와의 관계에서 모두 비취업 고령자보다 만족하는 편이었다.

2021년 기준 일하는 고령자의 77.4%는 자녀와 같이 살고 있지 않았다. 비취업 고령자(70.7%)보다 6.7%p 높았다.

또 일하는 고령자 중 81.9%는 향후 자녀와 동거를 희망하지 않았다. 비취업 고령자는 72.9%가 같은 답변을 했다.

일하는 고령자의 소득 및 소비 만족도는 각각 20.7%, 13.9%였다. 비취업 고령자보다 각각 7.8%p, 4%p 높다.

아울러 일하는 고령자의 68.1%가, 비취업 고령자의 51.4%가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고령자가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은 취미(36.1%), 여행·관광(25.4%), 소득 창출(21.3%) 순으로 높았다. 비취업 고령자는 취미(45.1%), 여행·관광(26.3%), 종교 활동(10.1%) 순이었다.

(세종=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