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순수출 급감에… 경제성장률 3개 분기 연속 0%대

입력 | 2022-10-27 15:41:00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모습. 2022.10.11 뉴스1


수출 부진과 무역적자의 심화로 경제성장률이 3개 분기 연속 0%대에 그쳤다. 고물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 속도가 둔화하면서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3분기(7~9월)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보다 0.3% 증가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 1, 2분기에 마이너스(-)로 떨어졌다가 그해 3분기부터 올 3분기까지 9개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성장 폭은 올해 1분기(0.6%)에 0%대로 하락한 뒤 2분기(0.7%)에 소폭 올랐다가 다시 0.3%로 급락했다. 지난해 3분기(0.2%) 이후 1년 만에 최저치다.

최근 성장세 둔화의 가장 큰 요인은 무역손실이다. 반도체와 대중(對中) 수출이 부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원유 등 원자재 수입은 크게 늘었다. 이로 인해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은 3분기 성장률을 1.8%포인트나 끌어내렸다. 최근 이어지고 있는 무역적자 행진이 경제 성장에 큰 타격을 준 것이다. 다만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각각 1.9%, 5.0% 늘면서 3분기 성장률은 가까스로 플러스를 지켰다. 건설투자(0.4%)와 정부소비(0.2%) 역시 소폭 늘었다.

교역조건이 악화되면서 3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DI)도 전 분기 대비 1.3% 하락했다. 이날 발표된 ‘9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83.47로 1년 전보다 9.9% 떨어져 18개월 연속 내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상품 1단위를 수출한 돈으로 살 수 있는 수입품의 양을 지수화한 것으로, 지수가 낮아질수록 교역조건이 악화되고 국민들의 살림살이가 어려워진다.

전문가들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과 글로벌 경기침체, 기업 자금난이 계속 이어지면 향후 경제 성장세가 계속 둔화할 수 있다고 본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4분기 성장률이 0%보다 소폭 크거나 작은 범위로 나온다면 연간 성장률은 한은 전망치인 2.6%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상준 기자 speaku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