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단독]국권침탈 주도 ‘이완용 친필족자’ 국내 첫 공개

입력 | 2022-08-16 03:00:00

향토사학자 심정섭 씨 어제 본보에
“중국 성리학자 주희의 詩인용
낙향해 자연에서 유유자적 과시”



심정섭 씨가 광복절인 15일 광주 북구 자택에서 최악의 매국노로 평가받는 이완용의 글과 작성 당시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을사늑약과 한일병합조약 등을 주도한 친일파 이완용(1858∼1926)의 이중성을 드러내는 글이 광복 77주년인 15일 공개됐다.

향토사학자인 심정섭 씨(79·광주 북구 매곡동)는 이날 이완용의 친필족자 1점을 동아일보에 처음으로 공개했다.

심 씨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낸 독립운동가 백강 조경한 선생(1900∼1993)의 외손자로, 독립운동 관련 사료와 친일 자료를 수집·연구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이완용의 족자는 가로 33cm, 세로 106cm로, 1916년 여름에 작성됐다. 족자에 적힌 시는 ‘琴書四十年(거문고와 함께 책 읽기 사십 년을 하였더니), 幾作山中客(거의 산중의 나그네가 되었구나), 一日茅棟成(하루 만에 띠(갈대) 집을 지을 수가 있으니), 居然我泉石(샘과 돌과 평화롭게 사노라)’다.

이 시는 중국 남송 성리학자인 주희가 벼슬을 버리고 낙향해 무이산에 은거할 때 지은 무이정사 잡영 12수 중 첫 번째다. 심 씨는 “외할아버지인 백강 선생에게 ‘이완용은 1909년 이재명 의사(1887∼1910)의 의거로 중상을 입은 뒤 그 후유증으로 건강이 악화되자 인왕산 계곡에 비밀 별장을 짓고 요양하면서 시, 서예에 몰두했다’는 말을 들었다”고 밝혔다.

심 씨는 “이완용이 시를 통해 자신이 주희처럼 낙향해 자연 속에 유유자적하고 있다는 것을 은근히 과시하면서 일제가 자신이 한 친일 행적에 비해 낮은 작위인 백작을 내리자 이에 불만을 품은 것을 시를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완용은 일제가 1905년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강제조약인 을사늑약에 찬성한 ‘을사오적(乙巳五賊)’, 1907년 행정·사법사무를 빼앗은 정미조약을 주도한 ‘정미칠적(丁未七賊)’, 1910년 국권을 빼앗은 경술국치를 주도한 인물들인 ‘경술국적(庚戌國賊)’에 포함된다. 이완용은 국권 침탈에 모두 관여한 유일한 인물로, 매국노로 불린다.

당대의 명필로 불렸던 이완용은 1913년 일본 왕을 찬양하는 글을 써 보내고, 1916년 왕세자 이은과 일본 왕족 이방자 여사가 결혼을 결정하자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에 찬양하는 글을 썼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세 차례나 경고문을 작성했다. 경고문은 ‘조선독립운동은 허설이며 망동이다. 조선과 일본은 조상이 같다’는 내용으로 일제의 주장과 일맥상통했다.

이완용이 더 적극적으로 친일 행위를 하자 일제는 1921년 후작 작위를 내렸다. 후작 작위는 아들, 손자에게 계승돼 조선의 귀족으로 온갖 영화를 누렸다.

심 씨는 “이완용은 말년에 일족인 이영구에게 암살될 뻔했고 사망 이후 전북 익산의 무덤이 후손에 의해 파헤쳐져 없어졌으니 조선 왕조의 만고역적에게 가해지는 부관참시와 다름없다”고 강조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