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양도세 중과 유예’ 소식에 매물 증가…강남구는 오히려 줄어

입력 | 2022-04-04 16:34:00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를 1년간 한시적으로 유예하겠다는 계획을 밝히자 다주택자들의 움직임이 바빠지고 있다.

다만 양도세를 완화해 거래량을 늘리겠다는 인수위의 의도와는 달리 일각에서는 오히려 매매보다 부담부 증여(전세 낀 증여)를 하겠다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어 이번 대책의 실효성 여부가 주목된다.

4일 부동산 정보업체 아실 집계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아파트 매물은 인수위가 양도세 중과 1년 유예 방침을 발표한 지난달 31일 총 36만441채에서 지난 3일 36만3357채로 4일 만에 2916채 증가했다.

서울시는 중랑구가 같은날 기준 1479건에서 1513건으로 2.2% 증가해 가장 많았고 노원(2%), 구로(1.6%), 동대문(1.3%), 성북(1.1%) 등 전체 25구 중 15구가 매물이 늘었다.

서울 동대문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최근 급매로 내놓는 물건들이 조금씩 나오고 있지만 매수자 연락은 많지 않은 상태”라며 “오는 8월에 전월세 시장이 풀리면서 임대와 같이 매매 거래도 좀 이뤄지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서울 노원구의 다른 공인중개사는 “상속을 받는 등의 이유로 2주택자가 된 분들이 주택을 빨리 처분하기 위해 급매 등 매물을 내놓는 경우가 있다”며 “매물이 계속 올라오면서 가격도 조금씩은 깎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전체적으로는 매물이 늘고 있지만 강남구 등 고가 다주택자들이 모여있는 지역은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전날 기준 강남구는 매물이 4147건에서 4012건으로 3.3% 줄었고 서초(-2.5%), 송파(-1.4%), 영등포(-0.9%)도 매물이 감소했다.

이 지역은 이미 처분을 마쳐 ‘똘똘한 한 채’만 남겨 놓은 사람들이 많은데다, 매도를 하느니 차라리 전세를 끼고 증여를 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계산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전세 낀 14억원대 주택을 어떻게 처분할 지 고민 중인 다주택자 A씨는 이번 발표를 듣고 세무사에게 부담부 증여(전세 낀 증여) 상담을 받았다. 그는 “매매하는 방법도 생각해봤지만 이번 양도세 중과 유예 발표를 듣고 증여가 더 세금 부담이 적지 않을까 싶어 알아봤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일부 지역은 매물이 늘어날 수 있지만 지역별로 양극화가 심해질 우려가 있다고 분석한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양도세 중과를 배제하면 일부 매물 증가는 기대할 수 있지만 오히려 똘똘한 한 채로 수요가 집중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상급지 또는 지역 대장주의 수요가 늘어나면 이는 가격 상승으로도 연결될 가능성이 높기에 이 부분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