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등교율 94% vs 69%…“수도권 전면등교 더 늦출 수 없다”

입력 | 2021-10-29 17:30:00


등교하는 초등학생. 2021.9.6/뉴스1 © News1

교육부가 초·중·고교 전면 대면수업 진행을 추진하는 것은 원격수업 내실화만으로는 감염병 사태로 불거진 교육격차 문제를 해소하기에 한계가 뚜렷한 영향이 크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2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교육분야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방안’을 발표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계속되는 격차 문제를 지적했다.

유 부총리는 “비수도권 지역은 94%로 높은 등교율을 보인다”면서 “서울·경기·인천 지역 학교는 거리두기 4단계 조치로 인해 등교율이 69%로 교육결손이 더 누적된다는 우려가 컸다”고 말했다.

이전에도 교육부는 전면등교가 가능한 조건을 설정한 바 있다.

지난 8월 발표한 ‘2학기 학사운영 방안’에서도 교육부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일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면등교가 가능하도록 길을 열어뒀다.

하지만 이후 4차 대유행이 번지는 등 수도권은 거리두기 4단계가 계속 유지되면서 전면등교가 가능한 환경이 마련되지 못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전면등교를 하는 학교가 늘었지만 수도권 학교는 학교밀집도 기준에 따라 대면수업과 원격수업을 병행해왔다. 코로나19 사태 초기보다 원격수업의 질이 향상됐지만 대면수업 효과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것인 현장 교사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지역 간 격차뿐 아니라 학생 간 격차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지난 6월 발표한 ‘2020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보면 중·고교 모두 국어·수학·영어에서 전년보다 ‘보통학력(3수준) 이상’ 비율은 줄고 ‘기초학력 미달(1수준)’ 비율이 늘었다.

중간층 학생들이 원격수업 장기화로 학업 의욕을 잃거나 학습 관리를 받지 못하면서 아래로 주저앉았다.

학습결손 완화 등을 위해 교육부가 지난 7월 ‘교육회복 종합방안’을 발표하고 종합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있지만 교육계에서는 등교가 뒷받침되지 않는 이상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적지 않았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교육분야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추진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뉴스1 © News1

교육부가 정부가 추진하는 단계적 일상회복에 발맞춰 다음 달 1일부터 3주간을 ‘학교 일상회복 준비기간’으로 설정하고 다음 달 22일부터 수도권에도 전면등교를 실시한다는 계획을 내놓은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다만 지역과 학교 여건에 따라 기존 학교밀집도를 적용해 원격수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해 2학기에 실제 수도권 학교들이 얼마나 전면등교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서울 한 초등학교 교장은 “위드 코로나로 가게 되면 학생 확진자가 더 늘어날 것”이라며 “학교 상황이 좋아지는 게 아니라 더 안 좋아지는 상황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교원단체 사이에서는 학교 일상회복 과정에서 현재까지 축적된 격차 문제를 풀어나가려면 교사가 학생 지도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교원단체연합회(교총)는 이날 교육부 발표 이후 성명을 통해 “학교 위드 코로나의 목표는 철저한 방역 속에 학생들의 학습·정서 결손을 조속히 회복하는 것”이라며 “방역은 교육·질병당국이 전담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교사는 학생 학력 저하와 격차 해소, 사회성 결여 회복을 위한 수업·생활지도에 전념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