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38노스 “北, 에이태큼스 핵 탑재해 전술·전략 병행활용 가능성”

입력 | 2020-03-26 09:09:00

"美에이태큼스보다 커…北 핵장치 수용 가능"




북한이 지난 2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참관하에 발사한 이른바 ‘북한판 에이태큼스(ATACMS)’에 핵탄두를 장착해 전술·전략무기로 병행 활용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25일(현지시간) ‘KN-24 발사에 대한 예비평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런 지적을 내놨다. 매체는 기사에서 북한의 21일 발사체를 KN-24 탄도미사일로 규정했다.

이어 이번에 발사된 KN-24의 특징으로 에이태큼스와 비슷한 외형 및 410㎞에 달하는 비행거리를 꼽았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번 발사체 비행거리는 약 410㎞, 고도는 약 50㎞였다.

매체는 아울러 조선중앙TV가 공개한 타격 장면을 토대로 “(타격 목표였던) 섬은 불과 길이 100m”라며 “진본이라면 미사일이 최소한 위성 유도 수신기를 장착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38노스는 특히 KN-24의 비행거리를 에이태큼스와 비교하며 “북한의 미사일이 더 클 수 있다”고 분석했다. 매체가 추정한 이번 KN-24 지름은 에이태큼스(610㎜)보다 긴 700~850㎜다.

주목할 부분은 북한의 KN-24 활용 목표다. 김 위원장은 발사 참관 뒤 “새로운 우리 식 무기체계들의 연속 출현”이라며 “가장 완벽한 국가 방위 전략”, “진짜 믿을 수 있는 전쟁 억제력”이라고 했었다.

해당 발언만으론 김 위원장이 KN-24를 상대적으로 작은 폭발력을 지닌 전술 무기로 활용할지, 아니면 핵심 시설 공격용 전략 무기로 활용할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38노스는 다만 “KN-24가 지름 610㎜의 미국 에이태큼스의 복제품 수준이라면 북한이 지난 2017년 2월 공개한 600㎜ 지름 핵폭발장치를 수용하기엔 탑재칸이 너무 좁다”고 지적했다.

이어 “600㎜ 지름의 핵무기를 탄두 부분에 맞추기 위해선 KN-24 몸통이 최소 700㎜에서 어쩌면 750㎜는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KN-24 추정 지름인 700~850㎜가 이에 부합한다는 취지다.

38노스는 이어 “북한이 이 미사일을 핵무기로 무장할 의도가 있는지는 전혀 명확하지 않다”면서도 “북한이 KN-24를 (전술·전략무기로) 이중 사용할 수 있게 만들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