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소멸위험지역 분류된 완주군…공무원조차 절반 이상이 타지역 거주

입력 | 2019-12-06 10:57:00

최찬영 전북 완주군의원이 군정질문을 하고 있다. /뉴스1


증가 추세에 있던 전북 완주군의 인구가 지난해부터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주군과 인접한 전주시 송천동에 에코시티가 조성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완주군이 추진하는 ‘15만 자족도시 건설’ 실현을 위해서는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완주군 공무원들이 완주에 주소를 두고 거주할 수 있는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완주군 인구는 2017년 9만6030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감소하고 있다.

12월 현재 완주군의 인구는 9만2384명으로 지난해 9만4444명보다 2060명 줄었다. 출생률은 2016년 1.5명에서 2018명 1.1명으로 낮아졌다.

한국고용정보원 보고서에 완주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처음 분류되면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최찬영 완주군의원은 최근 열린 정례회 군정질의에서 박성일 군수에게 “15만 자족도시 건설이 실행 가능하느냐”며 완주군의 인구정책을 거론했다.

최 의원은 “완주군에 주소를 두고 있는 공무원은 2016년에 비해 10%가 줄어 현재는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실제 거주는 이보다 훨씬 적을 것이다”며 “공무원조차 완주에서 살지 않는데 완주군이 경쟁이 있는 곳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했다.

이어 “소멸위기에 놓인 지역의 소속 공무원으로서 주인의식과 책임감이 있어야 한다”며 “인사고가 반영, 복지 우선권 등 공무원들이 완주에 살 수 있는 매력적인 유인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교육아동복지과에 소속된 인구정책팀을 기획감사실이나 행정지원과로 이관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며 “인구정책을 확대 시행하기 위해서는 ‘완주군 인구증가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의 개정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최 의원은 청년들을 위한 정책 마련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최 의원은 “청년들의 전출로 인한 인구 감소 폭이 매우 크며 20~30대 전출이 70%에 달한다”며 “청년들의 유출을 막지 못하면 소멸위험지역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년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완주=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