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환경공학 교수 “고농도 미세먼지=60~80% 중국등 외부요인”

입력 | 2019-01-15 09:40:00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리면서 15일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사상 처음으로 사흘 연속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됐다. 이날 환경부는 노후 경유차 운행 제한 등의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수도권에 발령했다. 2017년 2월 제도 시행 후 사상 처음 사흘 연속 발령이다.

이날 많은 누리꾼이 "비상저감 조치는 미세먼지 해결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을 쏟아내면서 미세먼지 원인에 대한 논쟁이 다시 뜨거워졌다.

이와 관련해 동종인 서울시립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평상시하고 이렇게 아주 고농도일 때 구분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 교수는 이날 YTN라디오 김호성의 출발 새아침과 인터뷰에서 "평상시에는 그 지역의 오염원이 중요하겠지만 이렇게 고농도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무래도 중국 영향이 상당히 크리라고 본다"며 "우리가 했던 항공 측정이 이를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국립기상과학원이 오염원이 없는 서해 상공에 항공기를 띄워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해본 결과, 내륙 측정치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동 교수는 "우리가 보통은 측정 자체를 지표면에서 하기 때문에 지표면에서 영향을 주는 인근의 오염원이 중요하게 되고, 평상시에는 중국 같은 외부요인이 30~50% 정도라고 보는데, 고농도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무래도 상층기류에서 오염물질이 넘어와서 정체되는 현상이 많다"며 "대체로 고농도시에 60~80% 정도가 중국을 포함한 외부의 영향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3년 전에 미국 나사에서 항공기가 와서 상공측정 한 적이 있다. 그때 측정한 것도 보면 지표면에서 오염물질이 이동하는 것하고 상공에서 오염물질이 이동하는 것하고 상당히 차이가 있었다. 미세한 먼지들은 잘 가라앉지 않고 기류에 따라서 상공기류를 타고 상당히 먼 지역까지 가게 되기 때문에 상당히 영향이 있는 걸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환경 문제를 가지고 국제 문제화하는 것에 대해 너무 조심스러운 측면이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그렇지만 이게 정부의 노력만 가지고는 좀 어렵지 않을까 생각한다. 정부는 정부 나름대로 촉구를 하고, 전문가 그룹은 전문가 그룹 나름대로 어떤 연구결과를 가지고 치열하게 한 번 논쟁을 해서 입체적으로 이런 논의과정이 일어나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식으로 공통된 목표를 세우고 접근해야지, 각 나라에서 자꾸 지역적인 개선만 생각하다 보니 이웃나라의 대기질 개선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나는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pt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