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에 주민들 기대감 ‘솔솔’

입력 | 2018-11-14 03:00:00

토지매각 입찰에 기업들 몰리고 범정부 조직체 연내 출범 앞둬
주거개발 위주로 난개발 우려




부산항 개항 이래 최대 프로젝트이자 국내 최초의 항만재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부산 북항재개발 조감도. 1단계 사업은 2022년, 전체 사업은 2030년 완공된다. 부산시 제공

부산항 개항 이래 최대 프로젝트이자 국내 최초의 항만재개발사업인 북항재개발사업에 대한 부산시민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북항재개발사업 구역의 노른자위 땅으로 불리는 상업업무지구 토지매각 입찰에 유수 기업이 몰리고, 연결교량 건설공사 낙찰자가 선정됐다. 여기에 북항 일원의 다양한 사업을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한 범정부 조직체가 올해 안으로 출범할 예정이어서 명품단지 조성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항만공사(BPA)는 13일 “북항재개발 사업구역 상업업무지구 2필지 D2(1만6195m²)와 D3블록(1만3241m²)에 대한 입찰을 공모한 결과 11개사가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공모 기간은 9월 5일부터 8일까지였다.

매각 예정금액이 819억여 원인 D2블록에는 D, I, M컨소시엄이 참여해 3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매각 예정금액 699억여 원에 상대적으로 입지가 좋은 D3블록에는 D, G, H, J, K, L, M컨소시엄과 단독업체 A사가 참여해 8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D, M컨소시엄은 D2, D3블록에 동시에 응찰했다. D2는 14일, D3는 15일 낙찰자가 발표될 예정이다.

BPA의 공모지침서에는 해당 토지에 북항재개발지역 활성화 및 관광객 유치 등 동북아 해양관광 명소 조성에 기여하는 건물을 지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호텔, 대형빌딩, 오피스텔 등 관광객을 모을 수 있는 시설과 핵심 상업시설, 해양관광시설이 갖춰진 호텔과 대형빌딩, 오피스텔 등이 들어올 수 있다는 게 BPA 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시민단체와 도시전문가들은 명품으로 개발되고 있는 이곳에 또다시 무분별하게 개발된 해운대 마린시티처럼 도심 스카이라인을 해치는 난개발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사업계획 평가 단계에서 수익만 겨냥한 주거시설 위주의 개발계획은 차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현재 이곳에는 협성종합건설이 지난해부터 지하 4층, 지상 61층, 2개동 936실의 생활형 고품격 레지던스인 ‘협성마리나 G7’을 짓고 있어 사업의 중복 여부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현돈 BPA 재개발사업단장은 “지역경제 파급 효과와 사회적 가치 실현은 물론 대규모 관광객 모집 유도 가능성, 문화 및 집회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운동시설 등 시민친화시설 도입 여부와 배치비율을 따져 사업자를 엄격하게 선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건설 컨소시엄은 최근 북항재개발 사업구역 안 연결교량 건설공사를 수주해 사업에 힘을 보탠다. 롯데 측은 사업 구역에 길이 100.32m와 76.5m의 차도교 2개와 보도교 4개를 건설한다.

부산시와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간담회를 열고 북항 및 부산역 일원의 통합개발의 실행력을 높이고 복잡하게 얽혀 있는 항만, 철도, 배후지역의 상생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에 따라 다음 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의 협업모델인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북항재개발사업이 도심재생의 시범모델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도심 난개발 방지는 부산시정의 핵심과제 중 하나”라며 “북항재개발사업은 시민이 행복한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을 건설하는 데 가장 중요한 사업인 만큼 정책적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