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9억 들인 소방장비 웨어러블 캠, 실적은 단 72건

입력 | 2018-10-15 10:51:00

정인화 의원 “통일된 규격, 매뉴얼 만들어야”




9억원 이상 들여 도입된 ‘웨어러블 캠’이 실효성이 떨어져 현장에서 외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정인화 민주평화당 의원이 15일 소방청으로부터 받은 ‘웨어러블 캠 활용 실적’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웨어러블 캠이 도입된 뒤 올 8월까지 전국 2868대의 카메라 중 활용된 사례는 단 72건(2.5%)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웨어러블 캠은 최근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한 폭언, 폭행 등이 꾸준히 발생하면서 소방본부가 일선 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폭행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보급하고 있다.

실제 2014년부터 웨어러블 캠 운영지침에 따라 국비와 응급의료기금, 전국 시도 지방예산 등이 투입됐다.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한 폭행사고는 줄지 않고 있다.

2014년 131건에서 2014년 198건, 2016년 199건, 지난해 167건이 발생했다. 올 8해 기준 99건이 발생해 5년간 평균 150건(총 794건)의 폭행사고가 일어났다.

하지만 이 기간 웨어러블 캠을 통한 사고 분석·대응·조사 실적은 단 72건에 불과했다. 전국 2826대를 보급하고 9억2776만원의 예산이 투입된 것에 비해면 초라한 활용 실적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남의 경우 114대의 웨어러블 캠이 보급됐지만 단 한번도 활용된 실적이 없었다. 광주(90대), 충북(64대), 제주(30대)도 활용 실적이 없었다.

웨어러블 캠을 활용한 실적은 서울(31건), 부산(11건), 강원(8건) 등의 순이었다.

이와 관련해 일선 소방서에서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건의사항을 보내는 등 불편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웨어러블 캠 착용으로 인한 구조활동의 불편함, 구급대원이 교대로 착용함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 캠 영상 활용을 할 수 있는 여유와 여건 부족 등을 호소했다.

무엇보다 지역별로 웨어러블 캠에 대한 통일된 규격, 사용지침 매뉴얼이 없는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정 의원은 “웨어러블 캠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도 활용실적이 저조한 것이 문제”라며 “일선 구급대원들의 의견을 잘 반영해 통일된 규격이나 매뉴얼을 만들어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