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남북평화구상 ‘베를린 선언’ 수위 조절 불가피

입력 | 2017-07-05 03:00:00

문재인 대통령 5일 G20회의 참석차 출국
6일 한중, 한미일 연쇄 정상회담… ‘북핵-미사일 위협’ 해법 공조 모색
北도발에 대화 제의 연설 어려워져




4일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성공했다고 선언하고 나서면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임하는 문재인 대통령은 북핵을 둘러싼 주요 국가 간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문 대통령은 5일 오전 4박 6일 일정으로 출국한다.

문 대통령은 5일(현지 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이어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담 및 만찬을 함께 한다. 한미일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무력 도발이 핵심 이슈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문 대통령은 이번에 세계 주요국 지도자들과 북핵, 미사일 도발에 공조 기반을 확고히 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6일에는 문 대통령이 쾨르버 재단 초청으로 한반도 평화 구축과 남북관계를 주제로 한 연설을 한다. 당초 청와대는 이 연설에서 밝힐 ‘신(新)베를린 선언’에 대북 대화와 관련한 진전된 내용을 담을 계획이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초안에서 수위 조절이 불가피하지 않겠느냐”며 “문 대통령이 독일행 비행기에서도 직접 연설문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7일부터 이틀 동안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문 대통령이 주요 국가 정상들과 연이어 정상회담을 하는 점도 ‘대화 제안’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7일 아베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각각 정상회담을 한다고 밝혔다. 8일에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등 10여 개국 정상과의 회담이 예정돼 있다.

관심을 모으고 있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동은 6일 오전 베를린에서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

한상준 기자 alwaysj@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