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뉴스룸/김창덕]‘산학(産學) 찰떡궁합’

입력 | 2015-10-09 03:00:00


김창덕 산업부 기자

지난달 독일을 다녀올 기회가 있었다. 노동시장 취재를 위해 찾아간 물류기업 ‘하트로트’의 인사책임자에게 인력 수급 문제는 없는지 물었다. 그는 “독일의 교육시스템이 완벽히 갖춰져 있어 기업으로서는 늘 준비된 인재들을 구할 수 있다”고 했다.

얼마나 좋은 제도이기에 기업이 “우리나라 교육시스템이 최고”라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는 걸까. 한국에선 최고 스펙의 신입사원을 싹쓸이해 가는 대기업조차 “도대체 대학에서 뭘 배웠는지 모르겠다”고 하소연을 한다는데 말이다.

독일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이 끝나면 첫 번째 진로 선택의 시기가 온다고 한다.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면 인문계 고등학교인 ‘김나지움’을, 기술자나 공무원이 되길 원하는 학생들은 실업계 고등학교 ‘레알슐레’를 선택한다. 초등과정 학습을 좀 더 보완해야 하는 일부는 ‘하우프트슐레’로 간다. 독일의 대학 진학률은 30% 정도에 불과하다. 인문계, 실업계를 불문하고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이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그리고 실제 70% 가까이가 대학에 들어가는 한국과는 대조적이다.

하트로트의 함부르크 본사 직원은 모두 303명. 이 중 레알슐레 4∼6학년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직업훈련 견습생이 30명이라고 했다. 레알슐레 학생들은 졸업 전 3년을 일주일에 3∼4일씩 기업에서 실무를 익힌다. 이론을 배우는 학교는 1, 2일만 간다. 하트로트는 첫 2년 6개월 동안은 견습생들이 모든 부서 업무를 경험하게 하고, 마지막 6개월은 그에게 가장 어울리는 부서에 배치하고 있다.

하트로트는 매년 10명씩의 레알슐레 4학년을 새로운 견습생으로 선발한다. 또 6학년을 마친 졸업생 10명씩은 거의 100% 정규직으로 채용해 왔다. 인사책임자는 “견습생이 그만두겠다고 하지 않는 이상 100%”라고 강조했다. 이유는 “3년간 일을 하면서 회사의 업무와 문화에 이미 적응이 돼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기업들은 훌륭한 견습생이 일찌감치 자신의 회사를 선택하도록 선의의 경쟁을 펼친다. 방법은 이들을 잘 교육한 뒤 좋은 대우로 고용하는 수밖에 없다. 하트로트 관계자는 사무실 한쪽 벽에 걸린 표창장 하나를 꼭 봐달라고 했다. 지난해 함부르크 상공회의소가 준 표창장이었다. 그는 “견습생 양성 교육을 가장 잘하는 기업에 주는 상장”이라며 “지난해 최종 시험에서 98점을 받은 함부르크 최고의 견습생도 우리 회사에서 나왔다”고 자랑했다.

기업은 국가 교육시스템의 혜택을 받아 준비된 인재를 손쉽게 구하고, 그 교육시스템은 기업들의 노력으로 완성된다. 기업과 학교가 찰떡궁합을 이루는 것이다.

독일의 교육방식에 대해서는 여러 번 들은 적이 있다. 그런데도 새삼 낯설었고, 또 부러웠다.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들여 배출해 낸 대학졸업자들은 취업할 곳이 없고, 정작 중소기업은 사람을 구하지 못해 허덕이는 우리의 모습이 겹쳐져 더욱 그랬다.

독일식(式) 교육시스템이 한국 현실에서 꼭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학교가 유일한 교육기관은 아니다’라는 한 가지는 배워도 되지 않을까. 기업들이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은 ‘장학금’ 외에도 참 많다는 걸 독일은 알려주고 있다.

김창덕 산업부 기자 drake00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