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가난까지 상품화’ 괭이부리마을 관광 계획 취소…‘누구 계획인가’ 비난 쇄도

입력 | 2015-07-13 15:31:00


‘가난까지 상품화’

인천 동구청이 만석동 괭이부리 마을의 가난까지 상품화한다는 비난이 커지자 ‘쪽박촌 체험관’ 계획이 취소됐다.

쪽박촌 체험관은 6·25전쟁 직후 조성돼 김중미씨의 소설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배경이 된 인천 만석동 괭이부리마을 쪽방촌에 지방자치단체가 외부인 생활체험관 건립을 추진한 계획이다.

하지만 이 계획이 나오자 지역주민들이 “체험관광이 대세라지만 가난까지 상품화하는 건 심하지 않느냐”고 항의했다.

이에 인천시 동구의회 복지환경도시위원회는 13일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가난까지 상품화 한다는 비난을 샀던 ‘인천시 동구 옛 생활 체험관 설치 및 운영 조례(안)’을 부결했다.

동구청은 최근 진행 중인 주거환경 개선 사업에 따라 이곳의 모습도 계속 바뀌고 있는 만큼 이 지역의 역사를 보존하자는 측면에서 옛 생활 체험관을 만들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현재 주민들이 모임 장소 등으로 쓰고 있는 2층짜리 주택의 일부를 고쳐 37㎡ 넓이의 숙박시설을 만들고, 이곳에 흑백 TV·요강·다듬이 등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옛 생활물품들을 갖춰놓기로 했다. 부모와 아이가 함께 와서 1만원을 내면 하루를 잘 수 있는 방식으로 운영될 방침이었다.

하지만 정작 주민들은 가난까지 상품화한다고 주장하며 구청의 방침에 항의했다.

주민들은 “구청이 가난까지 상품화해서 쪽방촌 주민들을 구경거리로 만들겠다는 얘기”라며 “요즘 들어 외지 사람들이 이곳에 찾아와 사진을 찍으며 집 안을 기웃거리는 일이 많아 다툼도 생긴다. 가난하게 살면 아무렇게나 막 대해도 되는 것이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동구청 관계자는 “인근에 먼저 생긴 달동네박물관과 연계해 사람들이 체험코스로 이용하도록 해 지역 경제에 도움을 주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현재 괭이부리마을에는 360여가구 600여명이 살고 있다. 이 중 230가구 300여명이 쪽방 주민이다. 쪽방 거주자들은 공동 화장실을 쓰고 있으며, 건물이 낡고 기반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DKBnews.all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