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부처님오신날]내가 선 자리가 바로 룸비니 동산

입력 | 2015-05-15 03:00:00

기고/해인사승가대학장 원철 스님




지난해 서울 동국대에서 열린 연등회 행사에 참석한 스님과 불자들이 두손을 모아 세상에 대한 부처님의 자비를 기원하고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공

몇 년 전 어느 봄날, 성지순례를 다녀왔다.

이른 아침 룸비니 동산(붓다 탄생지)으로 가는 길은 옅은 안개가 기분 좋을 만큼 깔려 있었다. 호텔에서 입구까지 교통편은 자전거와 손수레를 합쳐 놓은 모양을 한 2인용 릭샤였다. 안개 속에서 수십 대가 대열을 만들더니 순서대로 시야에서 사라졌다. 내 차례가 돌아와 남들처럼 엉덩이를 걸치고 두 무릎을 편 상태로 이동하면서 사람 보는 것을 관광거리로 삼아 앞뒤를 살폈다. 그렇게 짙은 안개라고 할 수도 없는데 가는 길이 구불구불한 까닭에 전후에 있는 한두 대 정도만 겨우 내 눈 안으로 들어올 뿐이다.

“나의 그리움을 알아/새벽안개되어 내게 온 당신/당신을 그리워하는 이 시간에/새벽안개 되어 내게 오시니/눈물이 날만큼 좋습니다”라는 시인 김정래의 시 몇 줄을 게송 삼아 읊조리기를 마칠 무렵 릭샤는 멈추었다. 일행이 모두 도착할 때까지 둔덕길에서 늪 언저리를 바라보며 기다렸다. 연꽃은 마른 줄기만 듬성듬성 남긴 채 자기 흔적을 스스로 지워 버린 상태였다. 붓다께서 2600여 년 전 이 근처에서 태어나 일곱 걸음을 걸으면서 ‘이 세상 사람을 편안하도록 만들겠다(아당안지·我當安之)’는 다짐을 하자 내딛는 발끝마다에서 연꽃이 피어났다고 했다.

세계에서 모여든 순례객의 긴 줄 마지막 뒤를 이었다. 나눠 준 덧신으로 갈아 신고서 마야 사원으로 들어갔다. 룸비니는 성모당(聖母堂)이 중심이다. 붓다 위주의 다른 성지들과는 달리 이곳은 붓다의 어머니 마야 부인이 주인공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니 중국 후베이 성 황메이산 오조사에는 홍인 선사(594∼674)의 어머니 영정을 모신 성모전이 있으며, 한국 전북 김제 만경벌에도 조선 중기 진묵 대사(1562∼1633)의 모친을 모신 성모암이 있다. 충청도에서 터를 잡은 도반은 야트막한 언덕에 새 절을 짓고는 ‘성모산 마야사’라는 편액을 달았다. 알게 모르게 그 전통은 오늘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해가 뜰 무렵 안개가 사라지면서 오래된 큰 나무 몇 그루와 연못이 제대로 그 모습을 드러낸다. 경전을 통해 설명하는 룸비니 동산은 절집 안의 이상향이다. 꽃과 나무의 아름다움에 반해 버린 마야 부인이 친정집에 몸을 풀러 간다는 현실조차 잠시 잊게 만드는 오월 꽃동산은 그 자체로 샹그릴라였다. 1400여 년 전에 이 동산을 찾았던 당나라 현장 법사(622∼664)는 ‘물이 맑아 거울과 같고 주변에는 갖가지 꽃이 다투어 피고 있다’는 기록을 남겼고 마야 부인은 출산 후 설산에서 발원하는 기름처럼 반짝이는 맑은 개울인 유하(油河)에서 몸을 씻었다는 사실까지 함께 언급하고 있다. 아홉 마리 용이 태자를 목욕시키기 위해 번갈아 입으로 내뿜었다는 물은 아직 이 연못의 어딘가에 한 방울이라도 남아 있을까?

이 정원은 마야 부인의 할머니를 위해 할아버지가 만들었다고 전한다. 두 어른의 인생 황금시절에 조경했다. 하늘정원의 아름다움을 땅 위에 그대로 재현했다는 평가를 받은 명품이었다. 아예 화원 명칭까지 할머니 이름인 ‘룸비니’라고 붙일 정도로 금실을 자랑했다.

잎들이 꽃보다 아름답고 눈이 부시도록 푸른 연둣빛 계절이다. 눈 닿는 모든 곳은 모두가 룸비니 동산만큼 아름답다. 그래서 일년 가운데 오월 한 달만큼이라도 세상 모든 이를 가족처럼 여길 수만 있다면 내가 서 있는 자리가 어디건 바로 룸비니 동산이 될 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