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광화문에서/김상연]존경받는 工大人을 위해

입력 | 2015-02-18 03:00:00


김상연 과학동아 편집장

요즘 공대생을 ‘취업깡패’라고 부른단다. ‘취업대세’란 점잖은 말을 쓰다 상황이 ‘세지다’ 보니 과격한 말로 바뀐 모양이다. 실제로 요즘 국내 대기업은 신입사원의 70∼90%를 공대생으로 뽑고 있다. 꼭 제조업에 국한된 것도 아니다. 공대 특유의 합리적인 사고방식이 요즘 기업에 잘 맞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후배 기자가 만난 한 공대생은 “취업난이라는 말이 크게 와 닿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공계 기피 현상’이라는 말이 나온 2000년대 초반과 비교하면 놀라운 반전이다. 과학전문기자가 되겠다는 부푼 꿈을 안고 회사까지 옮겼는데 1년도 안 돼 학생들이 이공계에 진학하지 않는다며 난리였다. 사실 이공계 기피 현상보다 ‘의대 열풍’이 더 문제였다. 예전에는 가장 똑똑한 학생들이 물리학과나 전자공학과로 진학했는데, 이제는 전국의 의대, 치대, 한의대를 한 바퀴 돈 뒤 이공계 학과에 왔다. 한때 이과반이 문과의 2배였는데 어느새 역전이 됐다.

상실감에 젖어 있던 이공계 교수들을 이렇게 위로했다. 자본주의 사회는 부가가치를 많이 창출하는 분야에 사람들이 몰린다, 우리나라는 제조업으로 부가가치를 쌓아 온 나라다, 지금까지도 그랬지만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제조업의 중심은 역시 이공계다. 제조업에서 돈을 못 벌면 병원은 무슨 돈으로 가겠느냐, 연어가 돌아오듯 학생들이 다시 돌아올 거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렇게 빨리 올 줄 몰랐다. 벌써 고교에서는 이과반이 늘어난다고 한다.

그런데 이걸로 된 걸까. 10년, 15년 인고의 세월을 보상받았으니 충분한 걸까. 의대 인기가 한창일 때(지금도 그렇지만) 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들에게 진로를 물어보면 의대가 압도적이었다. 다들 이유가 있었지만 어떻게 수재만 됐다 하면 적성이 죄다 의대로 변할 수 있을까. 지금의 공대 인기를 보면 비슷한 걱정이 든다. 공대도 적성이 맞아야 공부하는 과정이 즐거운 법이다. 아직은 좀 이른 걱정이긴 하지만.

이번 달 과학동아 마감을 하는 중에 이래저래 공대를 다룬 기사가 많았다. 다른 후배 기자가 이번엔 교수를 인터뷰하고 돌아왔다. 그 교수는 공대에서도 돈 잘 벌 수 있는 통신 분야를 전공했다. 그런데 허전했다고 한다. 돈으로 채울 수 없는 갈증이었을 게다. 그래서 사람을 돕는 공학을 하겠다는 결심을 했다. 그 교수가 선택한 것은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였다. 6개월 전 직접 만난 다른 공대 교수는 인터뷰 내내 ‘소명’이라는 말을 강조했다. 두고두고 심심한 인터뷰였지만 가장 기억나는 인터뷰 중 하나였다.

한의대가 최고 인기를 구가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렇게 길지는 않았다. 누구는 비아그라 때문이라고, 누구는 홍삼 때문이라고, 누구는 건강보험 때문이라고 한다. 의사의 인기도 예전처럼 확고하지는 않다. 1년 전 대중 강연에서 만난 한 의대 교수는 “졸업하고 수도권 진입하는 게 생각만큼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의대 가는 게 잘못된 선택이라는 게 아니다.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 10년도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앞으로는 더욱 그럴 것이다.

요즘 같은 취업난에 대기업에 취업하고 싶어 대학을 가는 건 결코 잘못된 일이 아니다. 우리가 사는 게 현실인데 왜 현실적인 이유를 비난받아야 하나.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싫다고 하면 그건 위선에 가깝다. 공대 가는 것 좋다, 의대도 괜찮다. 법대나 경영대면 어떤가. 그래도 다른 뭐 하나는 가슴 한구석에 있어야 한다. 이런 불확실한 세상에선 의외로 그 하나가 살아갈 희망을 줄지 모른다.

김상연 과학동아 편집장 dre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