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대통령 연설문 삭제 소동이 보여준 아마추어 외교

입력 | 2014-09-27 03:00:00


청와대가 미국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의 현지 간담회를 앞두고 기자들에게 사전 배포한 연설문을 취소한 소동은 단순한 해프닝으로 넘기기 어렵다. 이번 간담회는 뉴욕의 외교 싱크탱크 대표들을 상대로 마련됐다. 박 대통령 연설문의 사전 원고에는 “일각에서 한국이 중국에 경도되었다는 견해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이는 한미동맹의 성격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오해라고 생각한다. 이 자리가 일부의 그런 시각을 불식시키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었다. 그러나 간담회가 끝난 뒤 청와대는 “대통령이 원고대로 발언하지 않았다”며 언론사들에 이 부분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대통령은 언론에 사전 배포된 대로 연설문을 읽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통령의 해외순방 때 연설문은 대통령이 발언 요지를 미리 알려주면 외교안보수석비서관실과 외교부 참모들이 함께 만들어 대통령 결재를 받아 완성된다. 이 과정에서 몇차례 수정된다. 청와대가 사전 배포한 원고에는 넣어놓고 현장에서 빼달라고 언론사에 요구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올해 한국과 중국을 상호 방문하며 우의를 과시했을 때 미국 워싱턴 정가 일각에서는 “박근혜 정부의 한미동맹 정책이 불투명한 게 아니냐”는 반응이 나왔다. 이 틈을 타 일본 쪽에서는 “한국이 중국에 경도돼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왔다. 박 대통령이 실제 연설에서 뺀 내용은 이런 분위기를 우려하며 한미동맹을 강조한 발언이었다.

박 대통령은 중국 쪽에서 “박 대통령이 미국 눈치를 봤다”는 불만을 표출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해당 발언을 하지 않았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해도 외교적으로 민감한 문구를 연설문에 포함시켰다가 행사가 끝난 뒤 “단순한 참고자료였다”고 둘러대는 것은 한국 외교가 아마추어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칫 오해를 살 수 있는 발언이라면 처음부터 연설문에 넣지 말았어야 했다. 이번 소동이 외교부와 청와대 사이에 조율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결과라면 더 심각한 문제다. 대통령의 연설과 메시지는 명확해야 한다. 치열한 외교전이 펼쳐지는 글로벌 무대라면 더욱 그렇다. 청와대는 자초지종을 분명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