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北, 한중정상회담에 침묵… 北中 냉각기 이어질 듯

입력 | 2014-07-05 03:00:00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과 한중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북한은 4일 현재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침묵하고 있지만 중국의 최고지도자가 북한보다 한국을 먼저 찾은 것에 대해 불만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이 3일 한중 정상회담과 4일 서울대 강연에서 “한반도에서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확고하게 밝힌 것은 북측에 ‘경제-핵 병진노선’을 포기하라는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간접적이지만 공동성명에서 중국이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제안을 지지하는 모양새를 취한 것도 북한에는 부담이다.

올해 북-중 관계는 심상찮은 기류 변화를 드러냈다. 통일부 관계자는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3월에 북한을 방문한 뒤 지금까지 북-중 간 고위급 교류가 끊겼다”고 말했다. 지난달 28일 북한 노동신문은 “대국주의자들의 압력도 우리(북) 인민을 굴복시킬 수 없었다”며 중국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드러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경제-핵 병진노선을 포기할 생각이 없기 때문에 당분간 북-중 간 냉각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 대신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일본인 납치피해 문제를 조사할 특별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고 4일 보도했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