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2015년 전작권 전환은 시기상조” 남재준, 朴대통령에 돌직구 보고

입력 | 2013-07-19 03:00:00


정부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의 재연기를 염두에 두고 미국에 전작권 협의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박근혜 정부 안보라인의 핵심인 남재준 국가정보원장과 김장수 대통령국가안보실장의 엇갈린 처지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남 원장은 예비역 장성 등 군 원로들로부터 여러 차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 안보 상황이 악화됐기 때문에 전작권 전환은 시기상조”라는 문제제기를 들은 뒤 이를 박 대통령에게 그대로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 분야에 정통한 소식통은 18일 “2015년 전작권 전환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는 공약과 달리 국방부가 전작권 논의를 미국에 제안한 건, 생각을 바꾼 박 대통령의 뜻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전작권 전환 재연기로 가닥을 잡는 데 남 원장이 숨은 ‘키 플레이어’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남 원장이 박 대통령에게 군 원로들의 의견을 적극 전달한 건 그 자신이 전작권 전환 강력 반대론자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대선캠프에서 국방안보특보를 맡은 남 원장은 박근혜 후보 캠프가 전작권 전환을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계획을 공약으로 내세웠을 때조차 이에 부정적이었다.

반면 대선캠프에서 ‘전작권 예정대로 추진’ 공약을 짜고 국가안보실장 내정 이후에도 전작권 전환 연기론자들을 강하게 비판했던 김 실장은 난처한 처지가 됐다. 김 실장은 국방부 장관이던 2007년 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장관과 2012년 전작권 전환 합의안에 서명했다.

김 실장은 2월만 해도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전작권 전환은 양국 대통령이 합의한 사항이다. 그걸 연기하자는 건 현 단계에선 해선 안 되는 이상한 말”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군이 아직 전작권을 독자 수행할) 준비가 미흡하지만 이번 기회에 충분히 전작권을 수행할 능력을 확보할 준비를 잘해 내실을 갖출 기회로 활용하는 게 군에 필요한 자세”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 실장은 4월 국회에 출석해선 “안보 상황이나 인수 준비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여유를 갖고 검토할 수 있다”며 전작권 전환 연기 가능성을 시사했다. 올해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상반기 내내 북한의 잇단 도발로 안보 상황이 극도로 악화되면서 전작권 전환으로 대북 억지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주장에 힘이 쏠리던 시점이었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전제조건으로 대북 억지력을 강조해온 김 실장으로서는 외면할 수 없는 상황 변화였던 것이다. 박 대통령이 전작권 전환 재연기 논의가 필요하다는 쪽으로 기울자 참모로서 대통령의 뜻을 따를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정부의 한 관계자가 말했다.

윤완준·손영일 기자 zeitung@donga.com


▶ [채널A 영상]“북핵 위협 고조” 전작권 전환 재연기 논의…방위비 부담 ‘불똥’
▶ [채널A 영상]“전작권 전환 더 늦추자” 국방부, 美에 재검토 제안
▶ [채널A 영상]전작권 전환 재연기 제안, 이유는? (문성묵, 신인균)
▶ [채널A 영상]‘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이란 무엇인가 (송대성)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