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기고/성일종]음식쓰레기 대란, 자원화가 해법

입력 | 2013-02-04 03:00:00


성일종 환경산업협회 부회장

요즈음 음식물쓰레기 대란이 국민 생활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는 전국적으로 하루 1만1000t(2011년 기준) 정도 나오는데, 이를 식량자원개발 비용을 포함해 환산하면 연간 25조 원이 넘는다. 기아에 허덕이는 북한이나 제3세계 사람들의 눈으로 볼 때 멀쩡하게 버려지는 음식 잔여물은 하늘의 뜻을 거스르는 자들의 용서받지 못할 행위로 비추어질 것이다.

보릿고개 넘기 힘들었던 1970년대만 하더라도 음식물쓰레기는 존재하지 않았다. 가축을 소중한 가족의 생산자원으로 여겼던 당시엔 남은 잔반은 사료 자원이었기 때문이다. ‘음식물쓰레기’라는 용어부터 ‘남는 음식물 자원’으로 바꿔야 한다. 지금 겪고 있는 이 심각한 사태는 정부와 민간이 함께 만들어낸 탐욕의 산물로 버리는 자와 치우는 자의 반복되는 싸움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은 첫째, 퇴비화가 사용됐다. 톱밥 등 부산물을 섞어 15일 이상 썩힌 후 퇴비로 쓰는 것인데 이는 토양오염과 밭작물 성장에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재고되어야 한다. 둘째,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핵심사업으로 환경부는 음식물쓰레기를 썩혀 얻어지는 가스로 전기를 생산하는 바이오가스화 정책을 시행해 오고 있다. 하지만 4년여가 흐른 지금 바이오가스화 정책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외국 음식물엔 염분이 1% 미만이라 잘 썩기 때문에 바이오가스화가 가능하지만 염분 농도가 3% 가까운 우리 음식문화 특성상 미생물 활동이 미약해 가스 생산이 기대보다 적고 기후 변화가 극심한 동절기엔 미생물 활동이 부진하며, 음식물이 썩으면서 주변에 끼치는 악취 민원을 방지하기 위해 시설물을 지하화하다 보니 공사비가 과투하돼 소중한 세금이 낭비되고 있다.

특히 이번에 문제된 음식물 처리업자들의 파업사태는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바다에 투기하였으나 런던협약으로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육상처리에 대한 단가인상 요구로 촉발된 것이다. 가스의 생산은 음식물 속에 있는 유기물이 썩으면서 발생되는 단순원리지만 절임음식에 익숙한 음식문화 특성상 음식물이 썩지 않자 업자들이 찌꺼기와 폐수를 분리하여 처리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들이다.

음식물쓰레기 문제를 처리할 대안은 없을까. 해답은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운송부문만 민간에게 맡기고 최종 처리는 공공시설로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업성을 갖기 어려운 폐기물의 영역은 민간에겐 이익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공적인 영역으로밖에 처리할 방법이 없다. 그래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파업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다. 이미 몇몇 지자체는 공공부문으로 집행하고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자원화해 사료로 써야 한다. 기존 사료화는 고열에 장기간 말리다 보니 영양소가 파괴되어 한계점을 노출했지만 기술의 진보에 따라 급속건조가 가능해지면서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음식물쓰레기를 강제 탈수하지 않아 폐수 발생을 최소화하고 자연 발생되는 폐수의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나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낮아 약간의 처리과정을 추가하면 하수병합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새 정부가 출범을 앞두고 있다. 이젠 음식물 잔여물을 쓰레기가 아니라 자원으로 보는 눈을 갖고 계획을 수립했으면 한다.

성일종 환경산업협회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