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신설될 미래창조과학부가 박근혜노믹스 핵심 축”

입력 | 2013-01-04 03:00:00


“인수위 준비 차질 없겠죠” 진영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오른쪽)이 3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금융연수원에 마련된 인수위 대회의실을 둘러보고 있다. 뒤쪽은 임종훈 인수위 행정실장. 사진공동취재단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한 미래창조과학부가 ‘박근혜노믹스’의 핵심부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당선인 측 한 관계자는 3일 “미래창조과학부가 1월 예정된 정부조직 개편과 국정과제 선정의 핵심 축”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총괄 분과인 국정기획조정분과가 이 부서 신설과 관련된 업무를 직접 전담할 계획이다.

○ 박근혜 정부 성장동력의 핵심부서

미래창조과학부는 박 당선인의 성장, 일자리 정책과 국가의 미래 먹거리 산업까지 총괄할 부서가 될 것이라는 게 당선인 측의 설명이다. 단순한 과학기술부나 정보통신부 부활이 아니라고 강조하는 이유다.

미래창조과학부 구상은 사실 과학기술부를 부활해야 한다는 의지에서 시작되긴 했다. 이공계 출신의 박 당선인에게 과기부 부활은 오랜 소신이었다. 그러나 과학기술계에 대한 각종 지원이 오히려 일자리를 없애는 쪽으로 갈 수 있고, 지원해야 할 예산 단위는 큰 반면 성과는 적어 눈먼 예산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내부에서 지적됐다. 이에 박 당선인의 생각은 과학기술에 연구개발(R&D), 정보기술(IT), 융합, 일자리 개념을 넣어 ‘일자리를 창출하는 성장동력’으로 탈바꿈시키는 내용의 ‘스마트뉴딜(창조경제)’로 이어졌다. 그 고민은 2011년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이후 지난해 8월 스마트뉴딜의 큰 윤곽이 완성되자 이를 전담할 부서의 필요성이 내부에서 제기됐고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하자는 공약이 탄생한 것.

박 당선인은 지난해 10월 창조경제 공약을 처음 발표하며 “미래창조과학부는 모든 역량을 효율적으로 결집시켜 창조경제의 기반을 구축하는 부서”라며 “창조기술의 산업 확산과 경제 각 부문의 상상력과 창의성 배양, 신성장동력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 연계가 부서의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박 당선인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2년 만든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향후 50년간 산업화의 바탕이 된 것처럼 창조경제가 향후 50년 우리가 가야 할 길을 제시하는 주춧돌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참모들은 전했다.

국민행복추진위원회의 한 핵심 의원은 “과학기술을 제조업 서비스업 농업에까지 접목시켜 기존 시장의 부가가치를 높이거나 아예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게 창조경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 정부조직 개편의 ‘블랙홀’ 될까

인수위가 출범하면 가장 시급한 일이 정부조직 개편이다. 법률을 개정해야 그에 맞춰 내각 인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5년 전 이명박 인수위는 1월 16일 정부조직 개편안을 발표했다. 정부조직 개편 과정에서 신설될 미래창조과학부의 방향은 크게 두 가지다. 그 방향에 따라 이 부서는 각 부처의 기능을 모두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될 수도 있다.

우선 미래창조과학부에 창조경제와 관련된 모든 업무를 귀속시키는 방안이 있다. 박 당선인은 지난해 11월 비전선포식에서 “IT, 문화, 콘텐츠, 서비스 산업에 대한 투자를 대폭 늘리는 창조경제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새로운 일자리를 늘리겠다”고 약속했다. 기획재정부의 일부 예산 기능, 지식경제부의 R&D와 서비스, 교육과학기술부의 산학협력, 고용노동부의 청년 일자리, 문화체육관광부의 콘텐츠, 방송통신위원회의 정보통신기술(ICT) 기능이 모두 합쳐지는 공룡 부처가 될 수 있다. 그만큼 고유 영역이 축소되는 해당 부처들의 반발도 클 수밖에 없다.

반면 미래창조과학부가 과학기술부를 기반으로 창조경제의 컨트롤타워 역할만 하고 집행은 기존대로 각 부서가 담당하는 방안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미래기획위원회와 같이 머리만 있고 손발(각 부처)은 따로 놀 경우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어떤 방향이든 정부조직 대수술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당선인 측의 한 관계자는 “보수적으로 잡아도 재정부, 지경부, 교과부와 방통위, 미래기획위, 국가과학기술위 등 3개 부처와 3개 위원회의 역할이나 기능은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중요도를 감안하면 국무총리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인선이 조각 작업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