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겨울 에너지難 극복에 온 국민 동참해야

입력 | 2012-12-04 03:00:00


겨울철 에너지 사용 제한조치가 어제 시작됐다. 정부와 시민단체는 건강온도(18∼20도) 지키기, 내복 입기, 개인 전열기 사용 자제, 피크시간대 절전에 동참하자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올겨울부터는 상가에서 문을 열어둔 채 난방하는 행위가 금지된다. 에너지 다(多)소비 건물 476곳은 내년 2월 22일까지 난방온도를 20도 이하로 유지해야 하며 오후 5∼7시의 전력수요 피크타임 때는 네온사인도 업소당 1개만 켤 수 있다.

에너지 제한조치는 여름철에 국한된 일이었다. 에어컨 가동이 급증해 전력수요가 공급량을 초과하면 국가 전체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는 블랙아웃이 발생할 우려 때문이었다. 최근에는 난방용 전력 수요가 급속히 늘어 겨울철도 정전을 걱정해야 하는 계절로 바뀌었다. 올겨울은 이상저온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고 고장난 원자력발전소도 많아 전력 사정이 어느 해보다 빠듯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력은 수요 관리를 철저히 하더라도 올겨울 예비전력이 대부분 200만 kW 이하에 머물고 난방 수요가 가장 많아지는 내년 1월에는 130만 kW를 밑돌 것으로 예상했다.

전기는 석유와 가스에 비해 생산비가 2.5배 비싼 고급에너지다. 하지만 값이 싸다 보니 콘도에서 주방의 가스레인지를 전기스토브로 바꾸고 주물공장도 경유가열로를 전기로로 교체하고 있다. 농가에서는 비닐하우스의 경유스토브를 전기히터로 바꿨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15위권 국가이지만 지난해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은 7위일 만큼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다. 값싼 전기요금이 소비자들의 과소비를 유도하고 있다.

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해 공공요금을 일률적으로 묶었다. 올 8월 전기요금을 평균 4.9% 올렸지만 전기요금은 아직 원가의 89.9% 수준이다. 억지로 틀어막은 물가는 훗날 더 세게 튀어 오른다. 경제운용의 선진화 정상화를 위해서도 물가는 적정 가격을 매겨 관리해야 한다. 전기요금을 정상화하고 발전설비도 확충해야 하지만 정전 대란을 막는 일이 시급하다. 예기치 않은 정전은 가정 기업 국가에 막대한 피해를 준다. 모든 분야에서 자발적으로 절전에 동참해 올겨울 에너지난(難) 극복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