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인문사회]영화, 식민지 조선을 달군 또 다른 불쏘시개

입력 | 2012-11-24 03:00:00

◇식민지 조선의 또 다른 이름, 시네마 천국/김승구 지음/288쪽·1만4800원·책과함께




조선인 거주지인 경성 북촌(서울 종로)의 단성사는 1920년대 대표적인 조선인 전용 영화관이었다. 책과함께 제공

“우마보다도 못한 대우를 받던 의협아가 어찌 그 일문을 멸망케 한, 아니 동족을 유린한 로마의 강자와 타협하여 오직 한 주구를 배제함에 그칠 수가 있는가? 이것이 관중을 필연 실망케 하고 말 것이다.”(동아일보 1929년 1월 10일)

사회주의 계열 비평가였던 필명 ‘꽃이슬’이 프레드 니블로 감독의 할리우드 흑백영화 ‘벤허’(1925년)에 대해 쓴 영화평이다. 그는 주인공인 벤허가 예수를 만난 뒤 복수 대신 용서를 택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예수가 가르친 사랑이 참지 못할 바를 참게 했고, 용서해서는 안 될 억압자를 용서하게 했다”고 분석했다.

이 글을 통해 우리는 두 가지를 알 수 있다. 하나는 영화평이 신문에 실릴 정도로 영화가 식민지 조선인에게 친숙했다는 점, 다른 하나는 영화가 피억압 계층인 조선인이 ‘복수’를 간접 경험을 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라는 점이다. 1920년대 중후반 인기를 끈 영화인 ‘아리랑’과 ‘풍운아’도, 찰리 채플린 등이 주연을 맡은 할리우드 영화도 가난하지만 인간미 넘치는 주인공이 억압자를 넘어선다는 내용이다.

올해 한국인 1억 명(누계) 이상이 본 영화는 대표적인 대중매체다. 세종대 국문과 교수이자 영화 애호가인 저자는 “이 땅에 영화가 뿌리를 내리고 민중과 함께 호흡한 것이 100년에 달한다”며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일간지와 잡지 등을 토대로 그 시절 영화가 어떻게 대중과 소통했는지 보여준다.

당시 대중도 할리우드 영화에 열광했다. 우월한 ‘스펙터클’ 때문이다. 할리우드 스타에 대한 관심도 지대했다. 찰리 채플린이 조선을 방문할 것이라는 소문을 신문에서 진지하게 다룰 정도였다.

이 책의 강점은 영화 자체가 아니라 영화를 받아들이는 식민지 조선의 대중에게 초점을 맞췄다는 데 있다. 당시 영화배우를 꿈꾸는 청년에게 기성세대는 “허영에 날뛰어 그러면 안 된다. 자기의 천품을 잘 생각해서 결정하라”고 충고한다. 아이돌 가수를 꿈꾸는 10대에게 지금 우리가 하는 충고와 같지 않은가.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