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경제 카페]밀-콩 국제가격 27∼39% 뛰는데 내년 밀 생산 증대가 정부대책?

입력 | 2012-08-21 03:00:00


박재명 경제부 기자

최근 국내외 언론이 관심을 갖는 주요 뉴스 가운데 하나는 식품 물가이다.

외신에 따르면 옥수수 가격은 17일 현재 t당 317달러로 올 초 대비 27.8%, 밀과 콩은 각각 26.9%와 38.8% 올랐다. 농업 자급률이 50% 중반에 머무는 한국으로선 밥상 물가에 즉각 반영되는 국제 곡물가 상승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심각성을 인식한 정부는 발 빠르게 대책을 내놨다. 주무부처인 농림수산식품부는 20일 “밀 생산량을 올해 4만2000t에서 내년에 7만5000t까지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또 술을 만드는 주정용 원료로 국산 밀 3만 t을 사용하겠다는 우리밀 사용 계획도 덧붙였다. 10월에는 예산 342억 원을 투입해 국산콩 7000t을 수매하고 내년에 콩 값이 오른다면 수매가격 수준으로 방출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한국인들이 먹을거리 중 쌀 다음으로 많이 소비하는 밀과 콩의 가격을 안정시킴으로써 식품 물가 안정에 기여하겠다는 계산이다.

하지만 이 같은 대책이 정부가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거두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2010년 기준 국내 식용 밀 소비량은 226만2000t 정도다. 예상대로 밀 생산량을 7만5000t으로 늘린다고 해도 자급률은 3.3%에 머문다.

또 올해 농산물 가격 상승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내년 여름에 수확이 가능한 밀을 ‘해결책’으로 내놓은 것은 제대로 된 대응책으로 보기 어렵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의 한 당국자는 “밀 수입은 원칙적으로 민간 차원의 일”이라며 “가격 상승이 계속되면 민간기업 지원책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국내 곡물업계가 연말까지 수입하는 밀 콩 옥수수 1426만 t 중 97.5%에 해당하는 1391t을 선물(先物) 거래로 확보했다는 점이다. 민간 분야의 노력에 힘입어 곡물가 급등에 비교적 유연히 대처할 수 있는 운신의 폭을 가까스로 마련한 셈이다.

이제 문제는 내년 상반기의 안정적인 곡물 수급이다. 정부는 지난해 한국 주도의 국제곡물회사를 설립하겠다고 했으나 거의 진척이 안 되고 있다. 정부는 실질적인 대책을 서둘러서 내년에도 민간 분야만 쳐다보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박재명 경제부 기자 jm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