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빗소리에 잠들어 새소리에 눈뜨면, 문틈 사이 햇살의 인사

입력 | 2012-07-20 03:00:00

고택에서의 하룻밤 ― 세계문화유산 경주 양동마을 이향정을 찾아




14일 경주 양동마을을 방문한 기자는 중요민속자료 제79호로 지정된 이향정에서 하룻밤 신세를 졌다. 건넌방에서 바라본 안채(왼쪽)와 사랑채.

《 빗소리부터 달랐다. 흙바닥에 빗살이 사뿐히 내려앉는 소리와 처마에 방울져 있다가 퉁 떨어지는 소리, 빗물이 시내를 만들어 졸졸 흐르는 소리가 어우러졌다. 2평 남짓한 건넌방에 앉아 고개를 숙여야만 드나들 수 있는 여닫이창문 밖 마당과 장독대, 사랑채를 바라봤다. 빗소리와 함께. 300년 전 오늘도 지금과 같은 모습이었으리라. 》

경북 경주 양동마을은 2010년 7월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경주 손씨와 여강 이씨 두 가문이 550년 넘게 살아온 조선시대 대표적 씨족 마을로 마을과 고택(古宅) 형태가 잘 유지돼 있다. 14일 양동마을을 방문한 기자는 중요민속자료 제79호로 지정된 이향정(二香亭)에서 하룻밤 신세를 졌다. 1695년(숙종 21년) 건축된 이향정은 온양군수 이범중 공과 그 맏아들인 담양부사 이헌유 공이 살던 집이다. 이향정은 이범중 공의 호다.

안채와 사랑채, 아래채, 방앗간채 등 네 개 건물이 ‘ㅁ’자 형을 이루고 있다. 기자가 머문 곳은 아래채의 건넌방으로 이 고택에서 가장 작은 방이다. 혼인 전 어린 자녀가 주로 머물렀다고 한다. 방앗간채에는 발로 디뎌 곡식을 찧는 디딜방아가 그대로 보존돼 있다. 사랑채엔 ‘만취재(晩翠齋)’라고 적힌 편액(扁額·방이나 문 위에 걸어놓는 액자)이 걸려 있다. 양동마을에서 유일한 초서체 편액이다.

마침 이 집의 주인이자 후손인 이동욱 씨(59)가 사랑채에 묵고 있었다. 부산에서 건축 일을 한다는 이 씨는 이곳에서 태어나자마자 외지로 떠났지만 주말이면 이향정을 찾는다. 괜스레 마음이 편해져서다. 집 밖을 나오자 나지막한 뒷산에 소나무 다섯 그루와 백일홍이 보였다. 이 씨는 “증조할아버지가 아들 다섯을 두자, 이를 ‘기념’하기 위해 소나무 다섯 그루를 심으셨다. 사람은 나고 가지만 소나무는 여전히 잘 자라고 있다”며 웃었다.

양동마을은 ‘외손(外孫)마을’로 불린다. 부유한 처가 덕을 본 남자가 씨족의 시작이기 때문. 경주 손씨 입향조(入鄕祖)인 손소 공이 부자였던 류복하의 무남독녀와 결혼한 후 처가의 모든 재산을 상속받아 이곳에 살게 됐다. 여강 이씨 이번 공도 손소 공의 7남매 중 차녀와 결혼해 이곳으로 옮겨왔고 조선 성리학의 기초를 닦은 유학자 회재 이언적 공을 낳았다. 양동마을 문화해설사인 김명선 씨는 “조선 초만 해도 남자가 처가를 따라가 사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마을과 고택의 형태가 잘 유지돼 있는 양동마을 전경. 지금이라도 한복 입은 아이가 대문을 열고 뛰어나올 것만 같다.

이 마을엔 관가정, 향단, 무첨당, 서백당 등 200년 이상 된 고택 54호(戶)가 보존돼 있다. 양반이 살던 기와집들로 산 위에 위치한다. 그 아래 외거 하인들이 살던 초가집이 3∼5채씩 딸려 있었다고 한다. 마을 내 물봉동산에 올라가니 우리나라 가옥 구조가 한눈에 보였다. 기자가 방문한 날은 비가 주룩주룩 내렸지만 관광객이 무척 많았다. 세계문화유산 등재 후 외국인들도 꽤 눈에 띄었다.

하지만 눈으로 보는 것과 그 공간에서 생활하는 건 전혀 다르다. 아침 무렵 문지방 사이로 들어오는 햇살과 공기, 새소리, 그리고 구석구석 살펴본 공간의 역사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듯한 상상은 하룻밤이라도 묵어 본 사람만이 경험할 수 있다. 최근 정비된 고택들은 수세식 화장실을 갖춰놓았다. 31일부터 8월 2일까지 이곳에서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2주년을 기념하는 ‘양동마을문화축제’가 열린다. 054-762-2633

경주=글·사진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