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인천/경기/인천人, 인천을 말한다]강광 인천문화재단 대표

입력 | 2012-03-08 03:00:00

“시민 참여로 문회토양 바꾸겠다”




강광 인천문화재단 대표는 6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인천의 문화가 척박한 이유는 예술인들이 시민과 함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선홍 기자 sunhong@donga.com

강광 인천문화재단 대표이사(72)는 스스로 재야 미술가라고 말한다. “인천의 문화가 척박한 것은 예술인들의 책임입니다. 자기 영역에서 안주하다 보니 시민과 멀어졌지요. 일부 천재 예술인이 문화를 대표할 순 없습니다. 훗날 시대문화를 규정하는 것은 소수보다는 다수의 사람들이 어떤 것을 즐겼냐는 것이지요. 예술인들이 좀 더 열린 자세로 시민들과 함께하는 문화활동을 펼치는 장(場)을 만들려 합니다.”

강 대표는 함경남도 북청군 태생이다. 이북 출생인데 진보라고 불리는 이유를 물었다. 그는 웃음을 띠며 말을 이었다. “아버지와 함께 6·25전쟁 직전에 남하해 서울에서 초등학교부터 대학(서울대 미대)까지 다녔습니다. 인천과 인연을 맺은 것이 1983년 인천대 교수로 재직하면서부터입니다. 교수는 경제·사회적 대우를 받는 직업인데 제가 보수가 아니라고 하는 것은 인천대 분규 과정에서 학생들 편을 들고 북한 주민 돕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일 겁니다.” 교수로 임용된 그해에 인천대 총학생회, 인천지역 인사들과 연계해 선인학원정상화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설립자 퇴진 운동을 벌여 학원 내 초중고교는 공립화, 인천대와 전문대는 시립화를 주도했다. 이후 그는 인천대 부총장을 지냈다.

그는 고향 북한에 대한 향수를 지울 수 없었다. 특히 북한 어린이의 기아 문제를 주목했고 인천 시민단체와 2004년 평양을 방문해 옥류동에 빵 공장과 치과병동을 건립하는 데 적극 참여했다 “당시는 미국의 대북 제재가 본격화될 때였습니다. 평양시내는 밤이면 암흑천지였고 시내에서도 굶는 어린이들을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한민족으로 돕겠다는 생각뿐이었습니다.” 그는 한반도 문제에 확고한 견해를 보였다. “훗날 우리 민족사를 쓴다면 한반도를 통일시킨 지도자를 가장 크게 장식시킬 겁니다. 우리는 동족끼리 싸운 비극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남북한 지도자 누구도 분단을 정치적으로 이용해선 안 됩니다. 갈등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지요.”

그는 시민운동에서 정치성을 배제해 왔다. “인천의 교수, 의사, 종교인 등이 지역문제를 고민하는 ‘목요회’라는 모임을 수십 년간 나갔지요. 전문가들이 모여 사회적 대안을 모색하지만 철저히 중립을 지킵니다.” 2007년에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 고문을 맡았던 그는 인천연대가 인천시의 지원 없이 회원의 회비만으로 운영되는 것을 보고 감동받았다고 말했다. 이후 굴업도 핵 폐기장 반대에 앞장섰다. 불법 시비가 일었던 국회의원 후보 낙선운동을 펼쳤다. 그는 “낙선 대상을 여야 구별 없이 선정했고 전원 낙마시켰다”고 말했다.

“인천은 제 인생의 후반을 마무리하며 보내는 곳입니다. 인천은 인천 사람들이 꾸려 나가는 것입니다. 인천은 남북한을 하나로 모을 도시라고 생각합니다. 한반도의 중심이라는 거지요. 하지만 인천은 대구나 부산처럼 대표적인 문화상품이 없습니다. 문화예술인부터 시민과 가까이 하기 위한 자기 혁신과 체질 개선이 필요합니다.” 그가 일하는 문화재단 근처에 인천 근대건축물 등을 매입해 리모델링한 ‘인천아트플랫폼’이 있다. “문화는 1, 2년 만에 바로 변화하지 않습니다. 인천아트플랫폼은 10여 년 전 최기선 전 인천시장 때부터 문화계와 시민들이 논의해서 장소를 잡은 곳입니다. 죽은 거리를 완전히 살려 문화가 꽃피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이곳에는 시민 참여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작가 레지던스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작가가 거주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요. 아시아 예술인들은 30 대 1의 경쟁을 뚫고 옵니다.”

개인전을 12회 열었지만 그는 다작 작가가 아니다. 그는 ‘유쾌한 외도’를 많이 했다. 인천대를 2005년 퇴임한 뒤 작품 활동에 몰두하려고 강화도에 작업실을 꾸몄다. 하지만 그는 2010년 12월 인천문화재단 대표이사라는 부름을 받았다. “작가로서 한 작품이 끝나면 바로 다른 작품을 구상하듯 문화재단 대표도 같습니다. 대중이 없는 예술은 박물관 수장고에 있어야지요. 문화는 화려한 조명이 비추는 공간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함께하는 문화’가 또 다른 작품 활동입니다.”

박선홍 기자 sunh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