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2부리그 운영 방안없이 축구 승강제 잘 되겠나

입력 | 2012-01-17 03:00:00

프로축구연맹 운영안 내놔올해-내년 두 팀씩 탈락




K리그에 박진감을 불어넣기 위해 승강제를 도입하겠다던 한국프로축구연맹이 대책 없는 승강제 운영 방안을 내놨다. 연맹은 16일 서울 종로구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이사회를 열고 승강제 운영 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1부 리그 승격 팀을 가릴 2부 리그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내놓지 못했다.

연맹의 발표에 따르면 본격적인 승강제는 2014년부터 시작된다. 이 안에 따르면 현재 정규리그 16개 팀 중 2012년 하위 2개 팀을 먼저 2부 리그로 보내고, 2013년 하위 2개 팀을 추가로 탈락시켜 총 4개 팀을 2부 리그로 보낼 예정이다.

당초 연맹은 2012년 시즌을 마친 뒤 4개 팀을 떨어뜨려 1부 리그에 12개 팀만 남기려 했지만 전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시·도민 구단의 반대로 2012년 시즌을 마친 뒤에는 우선 2개 팀만 2부 리그로 떨어뜨리기로 했다. 이 구단들이 자신들이 먼저 하부리그로 강등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2013년까지 2부 리그로 강등될 팀이 결정된다. 이때 1부 리그 12위는 2부 리그 1위와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이 경기 결과에 따라 1부 리그 잔류 및 승강이나 2부 리그 강등이 결정된다.

1부 리그에서 강등되는 팀을 정하는 데는 별문제가 없다. 하지만 1부 리그 승격 팀을 가려야 하는 2부 리그 운영 방안은 사실상 백지 상태나 마찬가지다. 프로축구연맹은 2013년에 6∼10개 팀, 2014년에 8∼12개 팀으로 2부 리그를 운영하겠다는 밑그림만 내놨다. 1부 리그에서 강등되는 팀과 내셔널리그 팀, 신생 팀, 상무, 경찰청 등으로 2부 리그를 꾸리겠다는 것이다. 1부 리그로 승격되면 안방 구장과 연령별로 4단계 유소년 클럽시스템 구축 등의 프로 클럽 자격 요건을 갖춰야 하는데 재정 상태가 열악한 2부 리그 팀들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이종석 기자 wi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