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민주 청년비례 선정, 보좌관이 중지 소송

입력 | 2012-01-13 03:00:00

“35세는 청년, 36세는 왜 아닌가”




민주통합당의 새 지도부 선출 전당대회를 사흘 앞둔 12일 ‘대의원 투표’가 막판 변수로 떠올랐다. ‘돈봉투 쓰나미’의 여파로 전대 현장에서 진행되는 대의원 투표율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각 후보는 자신을 지지하는 지역 대의원들을 15일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에서 열리는 전대에 동원하기 어려워졌다. 예전에는 지방 대의원들에게 식비와 교통비를 지원하던 관행이 일부 남아 있기도 했지만 이젠 ‘구태 정치’로 몰리고 있어서다. 제주, 영호남, 충청지역 대의원들은 벌써부터 교통비 걱정을 하고 있다. 지방 대의원의 투표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렇다고 전대 참여율이 뚝 떨어질 경우 과거엔 ‘돈봉투 전대’가 사실이었음을 입증하는 것이어서 당으로선 고민이 많다.

‘모바일 투표율’도 변수다. 모바일 신청자 가운데 구형 휴대전화 사용자의 투표율이 특히 낮다. 12일 오후 1시 현재 구형 휴대전화 사용자 25만1363명 중 8만200명(31.9%)이 투표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마트폰 사용자는 43만1102명 중 73.8%인 31만4명이 투표를 마쳤다. 당은 주로 호남의 나이 많은 당원이 구형 휴대전화 사용자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변수는 지방 대의원과 장년층의 지지 비중이 높은 민주당 출신 후보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경선은 대의원(2만1000명)의 현장투표 30%와 시민선거인단(77만1273명) 투표 70%로 이뤄진다. 대의원 1표가 시민선거인단 15표의 효력을 갖는 셈이다.

한편 지난해 12월 통합 전대 절차를 놓고 법적 다툼을 벌였던 민주당이 이번에는 ‘청년 비례대표 선출’을 놓고 내부 소송에 휘말렸다. 신학용 의원실 서보건 보좌관은 이날 청년 비례대표 선정 절차 중지를 요구하는 가처분신청을 서울남부지법에 냈다. 당에서 추진 중인 청년 비례대표 나이 기준에 반발하는 36∼39세 보좌진과 당원을 대표해서다. 서 보좌관은 만 36세다. 당은 야심작으로 내놓았던 청년 비례대표 구상이 집안싸움으로 비화하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민주당은 당초 25∼35세 청년을 대상으로 오디션 프로그램인 ‘슈퍼스타K’ 방식의 4단계 경선을 거쳐 남녀 2명씩 4명을 뽑아 국회의원 비례대표 당선 가능권 순위에 공천하고 이들 중 한 명을 지명직 최고위원에 선임하기로 했다.

이날 ‘당 대표 후보 TV 정책토론회’에서는 △청년 비례대표제 △통합진보당과의 선거 연대 방식 △돈봉투 의혹 대처 문제 등에 대해 9명의 후보가 논쟁을 벌였다.

이남희 기자 ir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