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 “대통령서명 마친 FTA, 반대시위 무슨 실익있나”

입력 | 2011-12-05 03:00:00

“일부 판사들 사실관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듯”




김종훈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사진)은 4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시위가 확산되는 것에 대해 “협상 중이라면 반대 여론이 대외 협상력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측면도 있겠지만 비준안이 국회에서 처리되고 대통령 서명까지 마친 상태에서 반대 시위가 어떤 실익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과의 대화는 직원들과 함께 ‘김장 봉사’를 하기 위해 충남 보령시 무진사를 오고 가는 버스 안에서 이뤄졌다.

김 본부장은 일부 판사가 ‘재협상 태스크포스(TF) 구성 청원’을 주장하고 있는 데 대해 “판사는 직분상 사인(私人)이 아니지 않느냐”며 “정부가 누차 설명한 내용인데도 사실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김현종 전 통상교섭본부장이 본보와의 인터뷰(11월 28일자 A33면 참조)에서 ‘(비준된) 한미 FTA 추가협상은 잘했다고 볼 수 없다’고 평가한 것에 대해 “물론 양보한 부분이 있지만 2년 이상을 공들여 추가협상을 했다. 그러지 않았으면 FTA는 사장되고 말았을 것”이라고 강한 톤으로 반박했다. 김 전 본부장은 2007년 한미 FTA 비준 체결 당시 통상교섭본부장으로 김 본부장(당시 한미 FTA 협상 한국 측 수석대표)의 직속상관이었다.

김 전 본부장이 ‘미국이 한국 자동차 수입이 많아질 경우 관세를 과거처럼 부과할 수 있게 세이프가드를 허용한 것은 우리에게 큰 부담’이라고 비판한 데 대해서도 “세이프가드 발동이 현실적으로 이뤄지기는 쉽지 않다”며 답답해했다.

조숭호 기자 shc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