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신나는 공부/에듀칼럼]입학사정관제 자기주도 학습 바로알기자기주도학습 위한 부모의 역할

입력 | 2011-06-21 03:00:00

학부모가 ‘방치’아닌 ‘방목’의 지혜 배우세요




자기주도 학습은 학생이 주도력을 갖고 공부하는 것을 말한다. 자녀가 자기주도적 인재의 자질을 갖추기 위한 환경을 만드는 데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부모는 어떻게 자녀를 도울 수 있을까?

먼저 ‘우리 가족 꿈 데이(Day)’를 정해 가족끼리 꿈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갖자. 이 시간에는 자녀가 잘하고 좋아하는 것, 이루고 싶은 꿈의 목록을 제한 없이 생각해 적도록 한다. 아이는 이 과정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자연스럽게 꿈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갖는다. 자기성찰력을 높이고 진로성숙도를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부모는 자녀가 적은 꿈의 목록에 대해 핀잔을 줘선 안된다. 자녀의 생각을 존중해야 한다.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말이나 글로 잘 표현하지 못하더라도 충분히 시간을 주며 배려하자. 그래야 아이가 이 시간을 즐겁고 기대되는 시간으로 느낄 수 있다.

평소 자녀에게 ‘질문식 언어’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소파 위에 장난감이 어질러져 있다고 하자. 아이에게 치우라고 지시하는 것은 일방적 방식의 언어다. 일방적 언어에 노출된 아이들은 사고력, 주도력이 떨어질 수 있다. 비슷한 상황일 때 “장난감 때문에 소파에 앉기 불편하지 않니?”라는 식으로 질문하면 아이가 스스로 생각해 행동하도록 도울 수 있다.

고봉익 TMD교육그룹 대표

학습적인 부분도 마찬가지다. 수학을 가르칠 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은 뭘까?” “주어진 조건은 뭐지?”라고 질문해보자. 문제를 다 풀면 “어떻게 풀었는지 설명해줄래?” “왜 이렇게 생각했니?”라고 질문을 던져보자. 이 과정에서 아이는 사고력과 학습주도력,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다.

‘방목의 교육법’도 주목할 만하다. ‘방목’은 ‘방치’와 엄연히 다르다. 방치는 말 그대로 내버려두는 것이지만 방목은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서 자유롭게 뛰어놀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울타리 역할을 하는 기준이나 규칙은 자녀와 합의해 결정한다. 자녀를 전적으로 믿어주되 함께 만든 약속을 어기면 기준에 따라 벌칙을 주면 된다. 이것이 습관이 되면 아이는 스스로 기준을 지키는 주도력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

이런 교육방법을 실천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하지만 부모의 인내와 노력, 신뢰가 자녀를 ‘핵심 인재의 자질을 가진 주도력 있는 아이’로 성장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