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부산/경남]울산 반구대 암각화 보존 ‘솔로몬의 지혜’ 발휘될까

입력 | 2011-03-16 03:00:00

김황식 총리 현장 방문 훼손 정도 살펴봐
주민들 반발 무마할 대책 마련될지 관심




15일 오후 2시 반경 울산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입구. 김황식 국무총리가 망원경으로 희미한 바위그림 문양을 찾느라 안간힘을 쓰고 있었다. 이 암각화는 발견되기 6년 전인 1965년 하류에 건설된 사연댐 때문에 매년 8개월간 물에 잠겨 훼손이 가속화하고 있는 선사시대 바위그림.

○ 줄 잇는 방문

김 총리가 반구대 암각화를 보러 온 것은 물속에 잠긴 암각화를 보존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 김 총리는 이달 초 열린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3월 안에 반구대 암각화 현장을 방문해 보존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당시 한나라당 강길부 의원(울산 울주)이 “암각화가 발견된 지 40여 년 동안 물속에 잠겨 있다. 국보를 수장시켜 놓고 문화강국이라 말할 수 있느냐”고 추궁했다.

김 총리가 현장을 찾은 것은 암각화 보존 문제를 더는 방치할 수 없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고 울산시는 밝혔다.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미국대사도 휴일인 13일 반구대 암각화를 둘러봤다. 이달 초에는 정몽준 의원 부인인 김영명 씨 등 한나라당 소속 국회의원 부인들이 이곳을 찾았다.

○ 주민 반발 무마가 관건

반구대 암각화 보존 대책으로는 사연댐의 수위를 낮추는 대신 부족한 생활용수를 경북 청도군 운문댐에서 끌어오는 방안이 유력하다. 2009년 12월 정부가 마련한 방안이다. 이 대책에 따르면 사연댐 수위를 현재 60m에서 암각화 침수 수위 이하인 52m로 낮춘다. 댐 수위 저하에 따른 울산시민 생활용수 부족분은 1544억 원을 들여 운문댐에서 울산까지 지하관로를 매설해 하루 7만 t을 공급한다. 또 663억 원을 들여 공업용수댐으로 사용하고 있는 울산 대암댐을 생활용수댐으로 전환해 하루 5만 t을 생활용수로 공급한다는 것. 그러나 이 대책은 대구 경북지역 주민과 정치권의 반대로 시행되지 못했다. 김 총리의 울산 방문으로 이들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무마할 수 있는 대책이 나올지가 관건이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