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아덴만 여명작전’이후]金국방, 현장에 재량권 부여 ‘임무형 지휘’ 강조

입력 | 2011-01-27 03:00:00

“작전 참견하고 싶었지만 끝까지 꾹 참아…”




“작전을 지켜보면서 참견하고 싶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하지만 끝까지 꾹 참았다. 1년쯤 전에 담배를 끊었는데, 가슴이 담배를 부르더라.”

김관진 국방부 장관(사진)은 26일 서울 용산구 국방회관에서 열린 ‘아덴 만 여명작전’ 결과 언론설명회에서 21일 작전 당시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에서 가슴 졸이던 상황을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요원들이 배에 올라가 해적 2명을 차례로 사살한 뒤 한동안 조용했는데, 그렇다고 ‘왜 보고가 없느냐’고 나서면 되겠느냐”며 ‘임무형 지휘’ 개념을 소개했다.

임무형 지휘란 지휘관이 명확한 의도와 임무를 제시하고 필요한 자원과 수단을 제공하면 부하가 이를 기초로 자율적, 적극적으로 임무수행 방법을 찾아 완수하도록 재량권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김 장관은 “일단 과업과 작전계획이 하달되면 현장에 맡기고 (지휘부는) 참견하면 안 된다. 사단장, 대대장이 할 일까지 나서선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 김 장관은 군 지휘부가 구출작전을 감행하기로 결정한 과정에 대해 “분명 성공한다는 자신감을 가졌지만 피해가 클 경우 국민에게 어떻게 설명할지 고민이 많았다”며 “어려운 결단의 과정이었고 그럴 때 정말 담배를 피우고 싶었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김 장관은 “아무것도 아닐 수 있는 이번 쾌거에도 불구하고 우리 뇌리에는 여전히 천안함과 연평도가 남아 있다”며 “북한은 현재 권력승계 기간이어서 언제든 도발할 수 있는 만큼 국민 신뢰를 바탕으로 군의 기본 사명을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아덴 만 여명작전은 군과 언론의 합동작전이었다”며 “이번 작전에서 언론이 엠바고(보도유예)라는 어려운 결정을 내리고 이를 끝까지 지켜준 점을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박민혁 기자 mhpark@donga.com


《 화제의 뉴스 》
☞ 참배하러 간 안상수, 이번엔 묘지에 ‘발 실수’☞ “혈소판 외 다른 문제…”석선장, 2차 수술 이유는 ☞ “日왕비 한국팝페라 남성 가수 보러…”☞ ‘베테랑’ 박지성-이영표는 왜 공 안찼을까☞ 엽기·섹시…장 폴 코티에 파리 패션쇼☞ 헉! 29세 영국남, 최연소 할아비지 등극 ☞ 매혹적인 입술…아찔한 드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