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한승수 특사 “韓, 선-후진국 ‘가교 리더십’ 보여줄 것”

입력 | 2010-09-18 03:00:00

20∼22일 유엔 새천년개발회의 참석




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유엔 새천년개발목표(MDGs) 고위급회의는 ‘21세기 인류애의 중간점검’이에요. 개발도상국들은 이 자리에서 한국이 국제사회에 어떤 메시지를 전할지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2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새천년개발목표 고위급회의에 대통령특사로 참석하는 한승수 전 국무총리(사진)는 출국 하루 전인 16일 동아일보 기자와 만나 이번 회의의 중요성을 이같이 압축했다. 그는 22일 회의 참가국 중 18번째로 기조연설을 한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연설은 10번째다.

한 전 총리의 말처럼 유엔은 새천년개발목표의 이행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새천년개발목표의 실패는 곧 국제사회의 실패’라는 얘기까지 나올 정도다. 2000년 유엔 새천년정상회의에서 채택된 이 목표는 △절대빈곤 퇴치 △보편적 초등교육 실현 △양성평등 △유아사망률 감소 △모성보건 증진 △에이즈 등 질병퇴치 △지속가능한 환경 확보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 등 8개 목표를 2015년까지 달성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회의는 지난 10년간의 개발목표 이행 현황을 점검하고 남은 5년간의 이행 방안을 논의한다. 마지막 평가회의인 만큼 회의 결과가 유엔 개발원조 방향을 결정한다.

한국이 이번 회의에서 중점을 두고 전할 메시지는 우선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의제로 삼은 ‘성장을 위한 개발’ 목표가 빈곤퇴치 등에 중점을 둔 새천년개발목표와 상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개도국들은 G20이 개발 목표의 주요 대상을 기존의 아프리카로부터 개발인프라가 갖춰진 아시아나 중남미 일부 국가로 바꾸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새천년개발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이런 관측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개도국 대부분이 G20 회의에 포함되지 않은 점도 이런 불만을 가중시키고 있어요. 이번 회의에서 지속적인 개발은 새천년개발목표의 사회개발과 G20의 경제개발이 함께 할 때 가능하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설명해 선진국과 후진국의 가교 역할을 하려 합니다.”

한 전 총리의 또 다른 역할은 경제개발 경험을 개도국에 설명하는 것이다. 그는 “개도국들은 수십 년 전 소말리아나 예멘 수준이던 한국이 고도성장을 이룬 것에 경이를 표하고 단기간에 선진국 대열에 진입한 한국의 경험을 소개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패러다임을 성공적으로 전환한 경험을 전수하고 시행착오 없이 이런 개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길을 천명할 계획입니다. 한국은 이미 후진국과 개도국의 희망이자 모범국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번 회의에서 새천년개발목표 중에서도 이행 성과가 많이 뒤처진 모성보건 분야에 집중 기여하겠다고 밝힐 계획이다.

그는 “아무리 잘살아도 국격(國格)이 낮으면 창피한 일”이라며 “새천년개발목표를 통해 한국이 국제적 리더십을 보여줘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