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아하! 그 광고]LG유플러스 ‘노인과 바다’

입력 | 2010-09-11 03:00:00

‘대어 미끼로 상어떼 낚자’ 상식 뒤집어 찾은 신세계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를 소재로 삼아 ‘작은 것을 버리면 큰 것을 얻는다’는 반전을 보여준 LG유플러스 광고 ‘노인과 바다’편. 사진 제공 HS애드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에서 노 어부는 사투 끝에 거대한 대어(大漁)를 잡아 항구로 돌아가다 피 냄새를 맡은 상어 떼의 공격을 받게 된다. 노 어부는 마지막 남은 힘을 다해 상어 떼와 싸워보지만 결국 어부의 배에 매달려 있던 대어는 상어 떼에 뜯겨 앙상한 뼈만 남는다.

소설의 스토리와 같은 부분은 여기까지다. LG유플러스의 광고에 등장하는 어부는 젊고, 만족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소설에서처럼 대어는 뼈만 남았지만 다른 점은 수십 마리의 상어 떼가 낚싯줄에 매달려 배에 끌려가고 있는 것. 광고에 등장하는 젊은 어부는 대어를 미끼로 상어 떼를 낚은 것. 남다른 생각을 통한 가치의 발견이다. LG유플러스가 앞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놀라운 가치가 상징적으로 표현됐다.

LG파워콤, LG데이콤, LG텔레콤 등 3개 회사가 통합해 LG유플러스로 거듭났다. LG유플러스는 고객에게 새로운 통신 세상을 열어줄 것이며,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을 혁신적으로 바꿔줄 것이다. ‘텔레콤을 넘어(Beyond Telecom)’라는 새로운 비전에 걸맞게 LG유플러스는 차원이 다른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으며 통신에 대한 패러다임을 바꿔놓게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고객에게 상상을 뛰어넘는 가치를 전해줄 LG유플러스를 상징적으로 표현할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수없이 많은 아이디어가 선택되고 버려지기를 반복한 끝에, 소설을 패러디한 시안이 최종적으로 결정됐다. 대어를 상어 떼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로 사용한다는 발상은 새로운 통신 세상을 이끌어 갈 LG유플러스다운 이야기라고 판단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가진 것을 아낌없이 버림으로써 고객을 위해 더 크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내겠다는 LG유플러스의 철학이 이번 광고에 담겨 있는 셈이다.

촬영은 준비 단계부터 일반적인 광고의 스케일이 아니라, 영화 촬영에 맞먹는 블록버스터급으로 준비되었다. 고깃배와 대어 모형 제작, 그리고 수중 촬영을 비롯한 특수 촬영과 최적의 장면을 화면에 담기 위한 태국 현지 로케이션까지 최상의 그림을 만들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LG유플러스는 하늘을 나는 펭귄을 모델로 한 지난 광고에서도 ‘날지 못하는 새’ 펭귄이 창공을 가르고 열대 우림의 따뜻한 나라로 날아가는 광고를 통해 상식의 반전을 꾀했다. ‘텔레콤’이라는 얼어붙은 대륙을 벗어나서 ‘플러스 유’라는 새로운 대륙을 찾아 떠나는 펭귄 날갯짓의 비장함에는 LG유플러스의 남다른 각오가 담겼다. 광고영상은 2008년 영국의 BBC가 남극에서 날아다니는 펭귄을 발견했다며 만우절을 기념해 만들었던 페이크 자료영상을 활용해 더욱 눈길을 끌었다.

이제 통신사들이 통신 인프라를 구축해놓고 통화료를 받아 돈을 버는 시대는 지났다. 저마다 새로운 서비스로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LG유플러스는 통신사의 한계를 뛰어넘은 차별적인 포지셔닝으로 고객에게 다가가고 있다. 펭귄이 얼어붙은 텔레콤 세계를 떠나 지구 반대편의 따뜻한 곳으로 날아가듯 LG유플러스는 그동안 익숙했던 텔레콤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고자 한다. 이제 LG유플러스는 눈앞의 작은 이익을 버리고 더 많은 상어 떼를 잡는 어부의 모습으로, 전혀 다른 발상을 통해 고객에게 놀라운 가치를 선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상권 HS애드 BS1팀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