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DBR]메디치 가문의 창조 경영 리더십

입력 | 2010-09-11 03:00:00

용서할 줄 아는 사람만이 통치할 수 있다




보티첼리가 그린 ‘불굴의 용기’ 보티첼리의 ‘불굴의 용기’는 폭력과 갈등을 싫어했으며 관용의 리더십을 추구했던 피에로 데 메디치의 정신을 표현한 명작이다. 우피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사진 제공 김상근 교수

보티첼리의 그림 ‘불굴의 용기’에는 공상에 잠겨 있는 섬세한 여인이 등장한다. 용맹을 드러내야 할 여장군은 의자에 조용히 앉아 있다. 칼자루를 쥐고 있는 그녀의 손동작은 전투를 앞두고 있는 투사의 모습이 아니다. 사색의 표정으로 먼 미래의 평화를 상상하고 있는 것 같다. 이 그림은 위대한 아버지(이탈리아의 국부로 불렸던 코시모 데 메디치)와 훌륭한 아들(로렌초 데 메디치)을 두었지만 정작 자신은 고질병으로 병상에서 생활해야 했던 피에로 데 메디치의 리더십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관용의 리더십

피에로 데 메디치는 피렌체 시민들의 존경과 사랑을 한 몸에 받았던 코시모 데 메디치의 맏아들이다. 피에로는 슬픈 표정으로 기억될 만한 인물이다. 메디치 가문의 역사를 다룰 때 피에로는 코시모와 로렌초를 잇는 혈통의 연결고리로만 소개된다. 그는 메디치 가문의 고질병이었던 통풍(痛風)병에 걸린 중증 환자였다. 리더로서 피에로는 마음고생이 심했다. 코시모의 장남이었지만 동생에게 후계자 자리가 물려진다는 사실을 알았고, 동생이 죽자 자기 아들이 후계자가 될 것이란 사실을 알았다.

피에로는 마음의 상처를 입을 만한 환경 속에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았다. 남아 있는 어떤 기록에도 피에로가 분노하거나 질투의 격정에 휘둘렸다는 평가가 없다. 오히려 그는 온화한 성품을 가진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키아벨리도 지적했지만 온화한 품성을 가진 사람은 리더십에 도전을 받기 마련이다. 아버지 코시모가 임종하고 겨우 2년이 지난 시점에 메디치 반란 사건이 일어났다. 착한 성품과 신체적 한계를 가진 메디치 가문의 임시 수장인 피에로를 제거하려는 음모가 추진된 것이다. 피에로가 보여준 관용의 리더십은 여기서 시작된다. 그는 온화한 품성과 탁월한 인격을 발휘해 모든 반란자의 즉각적인 사면을 결정했다. 그는 메디치 가문을 중심으로 피렌체 사회가 통합되는 게 모두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피에로의 관용의 리더십에 충격을 받은 암살 주동자는 자신의 잘못된 판단에 용서를 구하고 평생 메디치 가문의 충성스러운 신하가 되겠다고 맹세했다.

피에로는 통치의 기본을 알았다. 피는 또 다른 피를 부르고, 보복은 또 다른 보복을 낳는다. 피의 원한과 보복의 악순환은 자신의 아들과 손자의 미래에 엄청난 시련을 안겨줄 것이라고 판단했다. 관용과 화합을 베푸는 길만이 메디치 가문과 피렌체에 미래의 평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했다. 피에로가 선택했던 관용의 리더십을 가장 정확하게 이해했던 사람은 다름 아닌 그의 아들 로렌초였던 모양이다. 그는 아버지가 내린 사면 조치에 대해 친구들에게 이렇게 설명했다. “용서할 줄 아는 사람만이 정복할 줄 안다.”

피에로 데 메디치 피에로 데 메디치의 흉상. 미노의 1453년 작품으로 현재 피렌체의 바르젤로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사진 제공 김상근 교수

○ 미래를 준비하는 리더

피에로는 자신의 어린 아들 로렌초에게 메디치 가문의 미래가 달려 있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알았다. 그는 로렌초에게 최고의 교육을 시켜 미래를 준비한다. 아버지 코시모의 총애를 받았고 인근 마을 카레지에서 플라톤 아카데미를 이끌고 있던 마르실리오 피치노를 로렌초의 개인교사로 임명했다. 로렌초는 당대 최고의 인문학자에게 교육을 받은 셈이다.

이 외에도 피에로는 로렌초를 로마 명문가의 규수인 클라리체 오르시니와 결혼시킴으로써 한 세대를 앞서 미래를 준비하는 놀라운 예지력을 보여줬다. 오르시니 가문은 중세시대부터 총 3명의 교황과 무려 34명의 추기경을 배출한 바 있는 명실상부한 로마의 최고 가문이었다. 반면 당시의 메디치 가문은 평범한 중산층 출신으로 작은 도시국가였던 피렌체의 간접적인 통치자에 불과했다.

피에로는 오르시니 가문과의 혼인을 성사시켜 메디치 가문의 미래를 준비했다. 메디치 가문의 역사를 돌이켜 볼 때 만약 피에로의 이 같은 결정이 없었다면 메디치 가문은 15세기에 사라졌을 수도 있다. 실제 1494년 폭동이 일어나 메디치 가문은 피렌체에서 축출당하기도 했다. 모든 재산은 공화정 폭도에 의해 강탈당해 빈털터리가 됐다. 이런 위기를 극복한 인물이 바로 조반니 데 메디치다. 그는 1513년에 레오 10세의 법명으로 교황으로 등극해 위기의 메디치를 다시 구했다. 그 뒤를 이어 교황으로 취임한 클레멘트 7세 역시 메디치 가문 사람이었다. 메디치 가문이 이처럼 교황을 배출한 명문가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오래전에 로마 명문가 오르시니 가문과의 혼사를 성사시킨 피에로의 예지력 덕분이다.

리더는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에게 리더의 덕성이 충분하지 못하다면 관용의 리더십을 발휘하면서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용서할 수 있는 사람만이 통치할 수 있고, 피에로처럼 때가 아닐 때는 조용히 미래를 준비하는 ‘불굴의 용기’가 필요하다.

김상근 연세대 신과대학 교수

정리=신수정 기자 crystal@donga.com

이 글의 전문은 DBR(동아비즈니스리뷰) 65호(9월 15일자)에 실려 있습니다.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고품격 경영저널 동아비즈니스리뷰(DBR) 65호(2010년 9월 15일자)의 주요 기사를소개합니다
DBR 웹사이트 www.dongabiz.com, 개인 구독 문의 02-721-7800, 단체 구독 문의 02-2020-0685

제품가격 30% 내렸더니 마진율 3배로 쑥… 왜?
스페셜 리포트/의미 있는 고객만 추려 핵심사업과 결합하라

유럽 최고의 트레일러 제조업체인 슈미츠 카르고불은 최근 10년간 제품 가격을 30% 내렸다. 하지만 이 회사의 마진율은 같은 기간 2%에서 7%로 세배 이상으로 늘었다. 가격을 내리면 마진율이 줄어든다는 통념을 깬 것이다. 이 회사의 최고경영자는 ‘포기를 통한 성장’이 그 비결이라고 강조했다. 여러 개의 제품군을 네 가지로 단순화하는 ‘제품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생산성과 매출액을 덩달아 올렸다는 설명이다. 1990년대 중반스웨덴 가전업체 일렉트로룩스는 유럽 각국의 가전회사를 인수하면서 브랜드가 15개로 늘어나자 ‘브랜드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치밀한 고객 조사를 통해 집중 공략해야 할 목표 시장 3곳을 정의하고, 브랜드 개수도 3개로 줄였다. 1996년 마이너스였던 이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브랜드 구조조정 덕분에 8.1%포인트 늘었다. 이번 호 DBR는 핵심 사업으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고객, 제품, 브랜드, 사업 포트폴리오 전략을 분석했다.

네모난 얼음덩어리를 둥근 그릇에 넣으려면
▼CEO를 위한 인문고전 강독


여러분 앞에 네모난 얼음과 둥근 그릇이 있다고 상상해보라. 이 얼음을 그릇에 억지로 우겨 넣으려 하면 얼음이 깨지거나 그릇이 깨질 수있다. 얼음은 ‘네모’라는 고착된 자의식을 버리고 ‘둥근’그릇을 수용해야 그릇과의소통이 가능해진다. 얼음과 같은 마음이 고체(固滯) 상태의 마음이라면, 물과 같은 마음은 쇄락(灑落) 상태의 마음이다. 쇄락은 온갖 시름과 고뇌가 씻은 듯이 사라져 맑아진 마음 상태다.얼음과 물이 각각 다른 실체가 아닌, 하나의 실체가 가지는 두 모습이다. 얼음과 같은 마음이나 물과 같은 마음 모두 우리 마음의 두 가지 모습이다. 얼음처럼 굳어진 마음을 물처럼 부드럽게 만들면 우리는 성인(聖人)의 마음에 이를 수 있다. 이번 호 DBR는 성리학의 대가 주희(1130∼1200)가 스승인 이통의 가르침을 책으로 묶은 연평답문이 우리 삶에 주는 시사점을소개했다.

산학협력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는 7가지 열쇠
▼MIT 슬론매니지먼트 리뷰


기업과 학교가 손을 잡으면 굉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다. 한 로봇공학업체의 산학협력 프로젝트 매니저는 연구개발(R&D) 부서 근무자였다. 사내에서 산학협력 프로젝트는 기초 연구에 불과해 회사의 실제 비즈니스에 영향을 주기에는 미미할 것이라는 인식이 퍼져 있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 매니저는 제조부문직원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차세대 로봇 공학 연구 결과를 제조 공정에 통합시키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 또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진행 방향에 대한 조언도 들을 수있었다. 이처럼 산학협력에서는 직원들의 경계를 넘어서 원활하게 토의를 이끌어내는 프로젝트 매니저의역할이 중요하다. 이들의 네트워크 다양성은 지식 전수를 한층 수월하게 한다. 따라서 외향적이어서 사람들과의 교류를 즐겨야 한다. 이 때문에 한 회사의 산학협력 프로젝트 매니저는 명함에 ‘수렵-채집(hunter-gather) 전문가’라는 직함을 표시하기도 한다. 산학협력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는 7가지 방법이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