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미소금융이 수십년 ‘일수 중독의 덫’ 걷어냈다

입력 | 2010-09-01 03:00:00

‘일수업자’ 사라진 서울 수유시장 상인들 찾아보니




대출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수유시장 상인회 총무(왼쪽)가 돈을 빌려간 같은 시장 상인으로부터 ‘일일 상환금’을 받고 있다. 상인회는 미소금융의 재원을 지원받아 연 4.5%라는 낮은 이율로 돈을 빌려주고 일수 방식으로 매일 조금씩 대출금을 돌려받는다.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요즘에는 도통 일수(日收) 아줌마들이 보이질 않네. 항상 저기에 앉아 있었는데.” 순댓국집 아줌마의 설명이 없었더라면 수유시장에서 생긴 변화상을 알아내기 힘들 뻔했다.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강북구 수유동에 있는 재래시장인 수유시장. 코끝을 자극하는 건어물 상점, 모락모락 김이 피어오르는 순댓국집 사이로 저녁거리 장을 보러 나온 사람들이 바쁘게 오가는 장면은 여느 때와 다르지 않았다. 다만 시장 주변에 상주하던 일수업자 6명은 보이지 않았다. 하나둘 자취를 감추더니 최근 들어서는 아예 볼 수가 없다.》

재래시장만큼이나 역사가 긴 시장의 일수업자들이 사라지고 있다. 대전 도마큰시장, 서울 영등포시장에 이어 수유시장에서도 일수업자들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세 곳 모두 미소금융의 재원이 투입된 곳이다. 이 때문에 다른 재래시장에서도 미소금융이 고금리 사채인 일수를 몰아낼 수 있을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깊고도 무서운 일수 관행

수유시장 상인들도 다른 재래시장과 마찬가지로 일수업자에게 돈을 빌리는 건 아주 자연스러운 일상이었다. 신용등급이 낮은 영세 상인에게 은행 문턱이 너무 높았기 때문이다. 은행에서는 이런저런 복잡한 대출 서류를 요구했지만 일수업자는 손만 벌리면 빌려줬다.

“100만 원만 빌려줘요.” 상인들은 급전이 필요할 때마다 일수업자에게 ‘SOS’를 쳤다. 한 상인은 “어떤 일수업자가 누구에게 돈을 빌려준 사실이 알려지면 너 나 할 것 없이 그 일수업자에게 손을 내밀었다”며 “소문 때문에 일수가 급속히 확산됐다”고 전했다.

일수의 덫은 깊고도 무서웠다. 상인들이 빌린 돈은 많아야 100만 원이지만 100일에 걸쳐 원금과 이자를 갚아나가는 일이 만만치 않았다. 게다가 금리도 100일간 20%로 높았다. 예컨대 100만 원을 빌리면 하루 1만2000원씩 모두 120만 원을 갚아야 했다. 연 이자로 환산하면 70%의 살인적인 고금리였다. 그래도 일수를 끊기가 쉽지 않았다. 급전이 필요할 때 손쉽게 일수업자에게 바로 돈을 빌릴 수 있기 때문이다.

“장사가 안 됐던 건 아닌데 일수에서 벗어나는 데 20년이 걸렸어요. 지금 생각해보면 돈을 버는 족족 일수업자에게 이자로 바친 거지 뭐….” 수유시장에서 30년 넘게 장사를 해온 이모 씨(65·여)는 한숨을 내쉬었다.

○미소금융에 ‘일수’ 서서히 밀려나

40년 수유시장의 역사와 같이하던 ‘일수시장’도 미소금융이 들어오면서 흔들리기 시작했다. 시장 상인회가 지난해 미소금융중앙재단으로부터 5000만 원을 받아 자율 대출사업을 시작하면서부터다. 조건도 일수에 비해 파격적이라 할 만큼 좋았다. 점포당 500만 원 이내, 금리는 연 4.5%, 대출기간은 12개월 이내였다. 상인들이 떼어먹을 것을 염려해 100만 원 이상은 좀처럼 빌려주지 않았던 일수업자와는 달랐다. 수유시장 상인 140여 명 가운데 약 30%인 40여 명이 일수에서 벗어나 미소금융의 혜택을 보고 있다.

이상근 수유시장 상인회장은 “영세한 시장 상인들에게 일시에 큰돈을 갚으라고 하면 서로 부담이 될 것 같아 아직까지는 일수 방식으로 원리금을 상환하도록 하고 있다”며 “이자율이 일수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은 만큼 상인들의 호응도 높다”고 전했다.

▼ 전국 재래시장 ‘이자 전쟁’ 한창 ▼

일수업자를 몰아낸 데에는 상인회가 내건 자격 요건도 한몫을 했다. 미소금융을 대출받기 전에 일수부터 정리하라고 요구한 것. 이에 맞서기 위해 일수업자들은 100만 원을 100일간 빌렸을 때 원금과 이자를 합쳐 하루 1만2000원씩 받던 것을 1만1000원 정도로 낮춰보기도 했다. 그러나 미소금융의 ‘금리경쟁력’에 밀려 결국 수유시장을 떠나야 했다. 같은 조건으로 미소금융을 빌릴 경우 원금 외에 이자부담은 1만2300여 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다른 재래시장 확산 여부 주목


이런 현상은 수유시장에서만 나타난 것은 아니다. 대전의 도마큰시장, 서울 영등포시장 등 미소금융의 재원이 투입된 여타 시장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다만 이런 현상이 전국적으로 확산될지는 아직 지켜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수유시장에서도 상인회 인력이 빠듯한 처지에서 대출을 운용해야 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지금보다 대출 수요가 더 늘어날 경우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 이렇게 되면 일수업자가 다시 고개를 내밀 수 있다는 게 상인회가 우려하는 대목이다. 상인회 측은 “자원봉사 삼아 하는 일이지만 매일 시장을 돌며 40여 명의 상인한테서 일일이 일일상환금을 받고 장부를 작성하는 게 보통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미소금융중앙재단은 이 같은 여론을 감안해 최근 발족한 미소희망봉사단을 재래시장 대출인력으로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미소금융중앙재단은 전국 176개 재래시장에 128억 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이 대통령 미소금융 개선책 지시
▲2010년 7월20일 동아뉴스스테이션


《 화제의 뉴스 》
☞ 北, 트위터로 ‘디지털 삐라’ 살포 ☞ 대통령 전용기 운항정보 샜다 ☞ 현대차 vs 폴크스바겐 공장, 근무환경 ‘천양지차’ ☞ 엄기영 춘천 이사… 강원지사 출마 수순? ☞ 태풍 ‘곤파스’ 비상… 내일 한반도 관통할 듯 ☞ 14세 소녀 키가 206cm?…“그만 자라고 싶어요” ☞ 시베리아 호랑이, 절묘한 ‘자세’ 포착 ☞ 비키니女, 쇼핑카트 장난치다 도로에 ‘헤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