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靑 “위장전입 알았지만 자녀교육 관련은 묵인”

입력 | 2010-08-16 03:00:00

“가이드라인 있었다” 해명… 민주 “요직 필수과목” 비난




이번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는 위장전입 문제가 어느 때보다 뜨거운 쟁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와 이현동 국세청장 내정자, 조현오 경찰청장 내정자 등 3명이 “자녀 진학과 교육 문제를 위해 위장전입했다”고 시인했기 때문이다.

신 내정자는 1995년 7월 경기 고양시에 정착한 뒤 8년 동안 다섯 차례 주소지를 바꿨다. 그중 세 번은 자녀의 상급학교 진학을 앞둔 시점에 이뤄졌다. 이 내정자의 경우엔 2000년 11월 부인과 딸(당시 중3)이 세대 분리를 통해 학군이 더 좋은 부근 아파트로 주소를 임시로 옮겼다가 1년 뒤 원래의 주소지로 돌아왔다. 조 내정자는 온 가족이 1998년 11월 서대문구 홍제동에서 종로구 사직동으로 주소지를 옮겼다가 석 달 뒤 다시 돌아왔다. 딸이 남녀공학이 아닌 여고를 희망해 잠시 주소지를 옮겼다는 게 조 내정자의 해명이다.

그렇다면 청와대는 인사 검증 과정에서 이 같은 사실을 알고 있었을까. 청와대 관계자는 15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위장전입 문제는 자녀 교육과 관련한 것은 봐주되, 재산 증식을 위한 것은 안 된다는 게 내부의 ‘가이드라인’이었다”며 “일각에선 자녀 교육을 위한 이른바 ‘21세기 판 맹부삼천지교’는 용인할 수도 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있다”고 말했다. 위장전입 사실을 사전에 알고도 묵인했다는 얘기다.

민주당에서는 “위장전입 논란의 시초가 이명박 대통령인데 어떻게 위장전입 문제를 장관 등의 검증작업에서 중요시할 수 있겠느냐”라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인 박지원 원내대표는 간담회에서 “위장전입은 MB(이명박) 정부 요직으로 가기 위한 필수과목”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1977∼1984년 중구와 서대문구 등으로 4차례 위장전입을 했는데 이는 세 딸과 아들을 각각 리라초등학교(서울 중구 소재)와 경기초등학교(서울 서대문구)에 입학시키기 위한 것”이었다고 시인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

민주당은 이번 청문회에서 위장전입 문제를 쟁점화하고 일부 내정자는 반드시 낙마시키겠다고 벼르고 있지만 현 정부 들어 이미 비슷한 전력자들이 청문회를 통과했다. 김준규 검찰총장과 이귀남 법무부 장관도 청문회 과정에서 자녀 교육 문제로 위장전입한 사실이 드러나 공개 사과했다. 두 사람은 법 집행기관의 수장이다.

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
《 동아닷컴 인기화보 》☞ 뜨거운 여름, 아찔한 도쿄 ‘게이 퍼레이드’☞ ‘섹시’ 손담비, DJ DOC 콘서트 지원사격 나서☞ 팝 아이콘 리한나, 도발적인 섹시미 과시☞ 나이를 잊은 ‘섹시’한 몸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