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대구/경북]한방엑스포? 건강식품 짜깁기 판매장!

입력 | 2010-06-22 03:00:00

■ 20일 폐막 엑스포 가봤더니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한방엑스포를 찾은 관람객들이 인삼 판매 부스에서 약차를 맛보고 있다. 이권효 기자

“날도 더운데 애들 데리고 괜히 온 것 같네요.”

‘제10회 대한민국한방엑스포’가 열리던 19일 오후 대구 북구 산격동 엑스코(대구전시컨벤션센터) 앞마당. 초등학생 자녀를 데리고 구경 왔던 한 40대 주부는 “건강식품이나 건강보조기구 판매장과 뭐가 다른지 모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관람을 마치고 나오는 몇몇 사람에게 물어봐도 비슷한 대답이 돌아왔다. 한방 관련 판매장을 이것저것 좀 많이 모아둔 것 이외에는 특별히 다를 게 없다는 반응이었다.

행사장인 1층 전시장에 들어가는 것도 불편했다. 1000원인 입장권을 바로 구입할 수 없고 이름과 주소, 연락처, 직장 등 개인정보를 따로 적어 내야 입장권을 구입할 수 있었다. 관람객들이 “왜 이런 것을 작성해야 하느냐”고 묻자 안내인들은 “나중에 경품 추첨 등에 활용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엑스포의 공식 자료에는 경품 행사가 있다는 내용은 어디에도 나와 있지 않다.

■흥행은 성공
‘한방 한류’ 부스 160곳 설치
4일간 1만2000여명 발길

■내용은 글쎄
체험코너엔 흔한 한방차만
관람객들 “홈쇼핑만도 못해”


160여 개 부스로 이뤄진 전시장은 ‘한방산업 한류화 원년으로’, ‘신성장 동력을 위한 한의약산업’이라는 주제와는 동떨어진 한방 제품 판매가 대부분이었다. ‘대한민국 한방’이라는 이름을 걸었지만 경북 안동시와 영천시, 상주시 등 몇몇 지자체가 부스를 마련한 정도이고 대구나 경북을 제외한 다른 지자체는 건강식품을 판매하는 두서너 곳이 전부였다. 상품을 두고 값 흥정을 하는 모습도 여기저기 보였다. 건강보조기구 부스에 들렀던 한 관람객은 “한방에 관심이 많아 찾았는데 이 엑스포에서 처음 보는 상품은 별로 없다”며 “시내 상점이나 홈쇼핑보다 볼 게 없어 보인다”고 했다.

그나마 관람객들로 가장 붐빈 곳은 엉뚱하게도 손톱 미용에 관한 네일 아트 코너였다. 체험 프로그램으로 마련한 태양인, 태음인 등 체질별 상담 코너를 찾는 관람객도 거의 없었다. 한 관람객은 “체질에 관심 있는 사람이면 자기 체질 정도는 알고 있지 않느냐”며 “너무 시시해 보인다”고 했다. 체험 코너라는 게 기껏해야 소주잔 크기의 종이컵에 흔한 한방차를 한 잔씩 나눠주는 정도였다.

20여 분 만에 관람을 마치고 나가는 한 관람객은 “인터넷으로 뒤져봐도 이보다는 낫겠다”며 “대한민국한방엑스포라고 해서 잔뜩 기대를 하고 왔는데 이 정도 행사를 뭐 하러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엑스포는 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이 대구시 및 경북도와 공동으로 17∼20일 개최한 것으로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 등이 후원했다. 진흥원 측은 4일 동안 행사장을 찾은 관람객이 1만2000여 명이라고 밝혔다.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