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400m훈련이 ‘번개’를 만들었다

입력 | 2010-02-05 03:00:00


■ ‘단거리 제왕’ 볼트, 비시즌에 400m 출전 왜?

우사인 볼트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남자 200m 준결승에서 스타트하고 있는 모습. 동아일보 자료 사진

#1. 2004년 3월 일본 육상 단거리 대부 미야카와 지아키 도카이대 교수가 한국에 와 단거리 유망주를 지도할 때 일이다. 300m 전력 질주 20회를 시키자 선수들은 깜짝 놀랐다. 길어야 200m를 달렸던 선수들에게 300m는 엄청나게 긴 거리였고 한 명도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다.

#2. 2009년 2월 22일 자메이카 킹스턴 국립경기장. 100m와 200m 세계기록 보유자인 베이징 올림픽 3관왕 우사인 볼트는 국내 대회 400m에 출전해 45초54로 우승했다. 볼트는 “400m는 몸을 만들기 위해서 훈련한다”고 말했다.

400m 전력질주할 수 있어야
100-200m 쉽게 달릴 수 있어
잔디훈련도 다리 잔 근육 강화

볼트는 14일 자메이카 킹스턴 국립경기장에서 열리는 국내 대회에서 다시 400m에 출전한다. 지난해 9월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월드어슬레틱스파이널 이후 5개월 만의 출전을 주 종목이 아닌 400m로 잡았다. 2007년 세운 45초28이 자신의 최고기록으로 세계기록(43초18)에는 턱없이 부족하지만 그가 400m에 나서는 이유는 100m와 200m를 더 잘 달리기 위한 것이다.

성봉주 체육과학연구원 박사(운동생리학)는 “트레이닝 방법론에 과부하의 원리가 있다. 300m와 400m를 전력 질주로 소화할 수 있으면 100m와 200m는 더 쉽게 달릴 수 있다”고 말했다. 미야카와 교수도 “200m를 소화하기 위해선 300m 이상을 전력 질주할 능력이 있어야 기록을 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베를린 세계선수권 200m 결승에서 19초19의 경이로운 세계기록을 세울 때 볼트의 모습을 보면 이해가 된다. 볼트는 200m 결승선을 지나고도 수십 m를 더 달리면서 세리머니를 펼쳤다. 이에 비해 다른 선수들은 결승선에 주저앉는 선수도 있었다. 볼트는 한 번 더 200m를 달려도 될 만큼 생생해보였다. 볼트는 100m에서도 9초58의 세계기록을 수립했다.

단거리에 400m 훈련이 필요한 이유는 ‘단거리의 전설’ 마이클 존슨(미국)도 보여줬다. 400m 전문이면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200m에서 19초32의 경이로운 세계기록을 세웠다. 그 기록은 베이징 올림픽에서 19초30을 뛴 볼트에 의해 12년 만에야 깨졌다. 그만큼 단거리에서 ‘장거리’ 훈련은 중요한 셈이다.

볼트가 지구촌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가 된 배경엔 잔디 트랙 훈련도 있다. 대표급 선수들이 훈련하는 자메이카공대 상급자훈련소(HPTC) 트랙은 잔디다. 볼트는 평소 이 잔디 트랙에서 훈련하고 대회에 출전할 때쯤이면 육상 전용 트랙에서 훈련한다. 단거리 대표팀과 함께 자메이카 전지훈련을 다녀온 서말구 전 감독은 “잔디는 표면이 불규칙해 발과 다리의 잔 근육을 키워준다. 또 지면이 부드러워 같은 훈련이라도 더 힘들어 효과는 더 크다”고 말했다.


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